고소득층은 노후대비, 저소득층은 빚갚는데 허덕

전체 가계의 저축률이 추세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외환위기 이후 저소득층의 저축률이 크게 떨어진데 반해 고소득층의 저축률은 오히려 소폭 상승, 소득계층간 저축률 격차가 확대된 것으로 파악됐다.

소득계층간 저축률 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고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노후 대비를 위한 여유가 많은 반면 저소득층은 가계부채 상환에 허덕이고 있는 것이 주요인 가운데 하나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26일 `소득계층별 가계저축률 격차 확대의 원인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분석을 내놨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통계청의 `도시가계조사'에서 소득이 하위 20%인 계층의 저축률은 1996년 -1.1%에서 2004년 -21.4%로 떨어졌으나 소득이 상위 20%인 계층의 저축률은 32%에서 33%로 높아졌다.

따라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저축률 격차는 33.1%포인트에서 54.4%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또 97년에 월평균 가구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고소득가구 가운데 저축을 하고 있는 가구의 비중은 15.5%였으나 2003년에는 이 비중이 37.5%로 높아졌다.

반면 월 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가구에서 저축가구의 비중은 같은 기간 14.8%에서 8.3%로 떨어졌다.

이처럼 소득계층별 가계저축률 격차가 확대된 것은 ▲고소득계층이 저소득계층보다 불확실한 노후 대비 등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더 많은데다 ▲국민연금 등 강제저축 증가로 저소득계층의 개인저축이 고소득계층에 비해 더 크게 줄어들고 ▲고소득계층보다 중.저소득계층의 가계부채 상환부담이 더 큰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소득계층별 저축률 격차까지 확대되면 저소득계층의 생계지원 등을 위한 재정부담 확대 등 경제.사회적 문제가 초래될 수 있는 만큼 중.저소득층에 대해 소비자금융에 접근성을 높이는 것보다 양질의 일자리 마련 등을 통해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고소득계층의 경우 노후생활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 등을 통해 건전한 소비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