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마침내 단일통화 "유러(EURO)"를 출범시키기로 최종
결정했다.

"유럽경제합중국"의 기공식 성격을 띤 지난주말의 EU정상회담은 내년
1월1일 출범하는 유럽통화동맹(EMU)에 EU전체 회원국 15개국 중 11개국을
참여시키기로 확정했다.

우선 내년 1월부터는 금융기관간의 거래에서 유러화가 공식화폐로
사용되며 2002년 1월부터는 유러지폐와 주화가 시중에 통용되기 시작한다.

물론 유럽중앙은행총재 지명과정에서 드러난 것처럼 참여국간의 갈등도
만만치 않아 앞으로 통합과정이 순탄치만은 않겠지만 아무튼 2억9천만명의
인구와 전세계 국내총생산의 19.4%, 세계무역의 18.4%를 차지하는 거대
단일통화권이 당초 예정대로 탄생하게 된것만은 분명하다.

유러화 출범의 의미는 단순히 새로운 기축통화의 등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궁극적으로는 세계경제 전반에 걸친 일대 판도변화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유러화 등장에 따라 유럽의 경제성장률은 0.5%포인트 높아지고 미국은
0.2%포인트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가 하면 유럽기업들이 누릴
거래비용절감 효과만도 연간 6백50억달러에 이를 것이란 추산도 있다.

21세기 초반에는 국제결제에서 달러화의 비중이 35~40%로 낮아지고
유러화의 비중은 35%선에 이르게 된다는게 도이체방크의 전망이다.

달러화 부족으로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하에 있는 한국으로서는
달러의 독주를 견제할 "신질서"의 탄생이 수출과 현지투자 등에서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유럽경쟁기업들의 경쟁력강화는 우리 기업에는 새로운 도전일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유러체제의 출범을 기대반 우려반으로 바라보는 것도 이때문이다.

우리 금융기관이나 기업으로서는 당장 구조조정이 발등의 불이긴 하지만
새 유러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장기전략도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우선 국내 금융기관들은 달러 일변도의 외환운영방식을 벗어나 외화자산
포트폴리오부터 다시 짜야 한다.

유러화표시 채권 발행 등을 통한 자금조달로 기업의 유러화 결제자금수요에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국내기업의 유럽진출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하다.

우리기업들은 유럽기업들과 경쟁관계에 있는 중화학분야에서 타격을
받게될 가능성이 크다.

이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유러체제를 이끌 독일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현지화를 강화하는 수 밖에 없다.

유러시대의 개막은 특히 외환.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우리에게는 변화와
충격이 더 크게 느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선진국들은 오래전부터 이같은 상황에 대비해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도 예상가능한 변화에 대비해 유러체제 관련 금융소프트웨어의 개발,
전문요원 양성, 관련 제도의 정비와 아울러 필요하다면 정부와 기업에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등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