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비단길)는 아시아 내륙을 횡단하는 고대의 동서통상로로 근대에
와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방에서 서방으로 간 대표적 상품이 중국산 비단이었던 데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물론 서방으로부터는 산물이나 종교가 이 길을 통해 동아시아로 전해
졌다.

이 통상로에는 타클라마사막의 북변과 남변을 각기 경유하는 이역북도와
서역남도가 있었다.

이 길들은 똑같이 마미르고원을 넘어 서쪽으로는 이투르케스탄(지금의
투르크멘 우주벡 타직 카라흐 키르기즈공화국)에 이르고 동쪽으로는 중국
감숙성 돈황에서 합쳐져서 황하유역에 다달았다.

그러나 3세기께부터 남도가 지나가는 감숙성 노브노르일대의 건조화가
진행되면서 담로의 이용도가 점차 낮아졌다.

그뒤 동서통상으로는 주로 북도가 이용되었다.

북도는 원래 천산밖의 남변을 경유하는 천산남도였으나 뒷날 그 북변을
통과하는 천산북로도 개척되었다.

실크로드가 처음 열린것은 기원전 4세기후반께였다.

중국의 전국시대로부터 한대초기에 걸쳐 감숙성 서부에 일런 월씨라는
나라가 비단중계무역에 종사했다는 흔적이 남아 있기때문이다.

당시 서역의 옥이 월씨의 중계로 중국에 활발히 수입되었고 중국인들은
그것을 "우씨의 옥"이라고 불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중국이 그
대가로 비단을 수출했을게 틀림없다.

이와 같은 동서무역은 2세기 후반의 한무학때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당시 외교가였던 장건의 서역파견을 계기로 서방의 사정이 첫 공식기록에
올랐다.

그뒤 역대 왕조는 예외없이 동서무역에 열의를 보였다.

7세기중엽 당나라가 타림분지에 안서도호부를 설치한 무렵이 실크로드의
최성기였다.

그러나 당 현종때인 755년 안록산의 난 발발과 티벳군의 진출로 동서의
직접교섭이 단절된데다 서역에서는 위그르인이 동부를 점령하고 이슬람
세력이 서부에 진출하여 실크로드는 파미르고원근처에서 끊겨지고 말았다.

그런데 중국의 비단을 서방으로 운반했다는 사실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실크로드의 범위는 더욱 확대된다.

이란이나 지중해연안까지 연장되고 북아시아 유목민을 매개로 한 스텝지대
교역로나 남방의 여러 나라를 매개로 한 해상교역로도 포함시킬수 있다.

그렇게 본다면 김대통령이 이번에 방문한 인도 또한 실크 로드의 종점
이었을 수 있다.

한국과 인도의 경협관계 확대를 "서울과 뉴델리간의 뉴 실크 로드 구축"
으로 묘사한 것도 그때문인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