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자를 확정하지 못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잠정집계 결과대로 부시 후보가 당선될 경우 한반도 정책은 물론이고 경제정책 면에서 큰 변화가 예상된다.

대선과 동시에 치러진 상·하양원 선거에서도 공화당이 다수당을 차지해 정부와 의회가 민주당과는 정책노선이 다른 공화당 수중으로 들어가게 되기 때문이다.

변화의 개연성이 가장 높은 것은 물론 대북정책 분야다.

그동안 공화당에서는 우리의 햇볕정책의 연장선에 있는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을 우려의 눈으로 봐왔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공화당이 북한의 핵 미사일 문제에 강경대처를 주장해 왔다는 점에서 북·미관계에 있어 상당기간 냉각기가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

이럴 경우 남북관계 개선속도도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로서는 남북정상회담으로 조성된 남북화해 분위기를 조기에 평화정착으로 연결시켜야겠으나 현실적으로 미국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눈여겨 봐야할 대목은 경제정책 면에서의 변화 가능성이다.

과거 공화당 정부 때부터 연임해온 앨런 그린스펀 연준리 의장이 대선결과와 상관없이 유임될 전망이어서 급격한 경제정책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긴 하다.

그러나 공화당이 전통적으로 국익우선의 친기업 정책을 펴왔다는 점에서 통상관계에 있어서는 강경노선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최근 수년간 경상수지 적자에 시달려 왔으며 금년에는 적자규모가 사상 최대인 GDP의 4%,4천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런 점에서 자국기업 보호와 경상수지 적자축소를 겨냥해 통상압력을 강화할 개연성이 크다.

이 경우 통상압력은 대미 흑자를 보이고 있는 한·중·일에 집중될 것이고,특히 한국에 대해선 시장개방 요구와 함께 제조업에 대한 반덤핑 제소와 지적소유권 분쟁을 제기할 소지가 크다.

아울러 세계가 주시하고 있는 것이 미국의 ''강한 달러''정책의 수정여부다.

현재로서는 자본유입을 통한 경상수지 적자보전 필요성으로 강한 달러 정책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미국이 달러화 과대평가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확대와 기업경쟁력 약화를 감내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강한 달러 정책을 포기할 개연성도 얼마든지 있다.

만일 미국이 달러정책을 선회할 경우 국가간 대규모 자금이동과 각국 통화간 환율변동성이 증대해 국제금융시장은 또한번 요동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