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공시, 기업 부담 줄일 것"
“국제회계기준(IFRS)이 추구하는 지속 가능성 공시는 환경이나 사회 문제가 기업에 어떤 위험과 기회를 주는지를 밝히라는 것입니다.”

IFRS 산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으로 활동하는 백태영 성균관대 교수(사진)는 지난 11일 ‘2022 글로벌 ESG 포럼’에서 “기업이 환경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를 규명하라는 것과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ESG 공시는 그간 기업의 자율 영역이었으나 ISSB가 지난 3월 지속 가능성 공시 기준의 초안을 내놓으면서 ‘규제’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다. ISSB는 최근 4개월에 걸친 의견 수렴을 마치고 연말 최종안 도출을 목표로 공시 표준을 다듬는 막바지 작업에 들어갔다. 국내에서도 금융위원회가 공시 초안의 검토 의견을 7월 ISSB에 전달했다.

ESG 공시는 지속 가능성에 관한 ‘S1’ 공시와 기후변화 대응에 초점을 맞추는 ‘S2’로 나뉜다. S1에서는 ‘모든 중대한(significant) 지속 가능성 관련 위험과 기회에 대해 중요한(material) 정보’를 제공하도록 돼 있다. 표현이 추상적이어서 혼란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백 위원은 “지배구조, 전략, 위험관리, 지표 및 목표라는 네 가지 핵심 요소에 근거해 공시해야 한다”며 “여기서 지배구조는 소유 구조를 묻는 게 아니고 의사결정이 얼마나 투명하게 이뤄지는지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은 특히 ESG 공시 내용 중 협력사의 탄소배출 내용까지 파악해 공시하는 ‘스코프3’에 관해 우려가 크다. 이와 관련, 백 위원은 “다음주 스코프3 완화 조치를 검토하는 회의가 열린다”며 “기업의 부담을 줄여야 제도가 안착한다는 점을 위원회가 알고 있다”고 전했다.

다소 막연한 가이드라인의 내용에 관해 백 위원은 배경을 친절하게 설명했다. 그는 “‘데이터의 질’을 공시하라는 것은 탄소배출량을 실측하기 어렵고 추정해야 한다는 사정과 관련이 있다”며 “얼마나 정밀한 수준의 추정을 했는지를 적어 데이터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게 하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해마다 탄소배출량 데이터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관해서도 백 위원은 “매년 재평가하는 것은 부담이 크다”며 “재평가가 필요한 상황, 재평가 시점 등을 가이드라인에서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