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태양광 웨이퍼 생산 기술을 수출 금지 목록에 넣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수출 금지 조치가 시행되면 미국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업체)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태양광 웨이퍼 시장 독점하는 中…기술수출 금지 카드 '만지작'
30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는 태양광 웨이퍼 생산에 필요한 핵심 제조 기술들을 수출 금지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 지난 28일까지 외부 의견을 들었다. 웨이퍼는 초박형 실리콘 부품으로 태양광 패널에 쓰인다. 중국이 세계에서 차지하는 태양광 웨이퍼 생산량 비중은 97%에 달한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미국 등 경쟁국의 공급망 내재화를 견제하기 위해서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미국은 지난해 8월 발효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미국에 투자하는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등의 에너지 업체에 60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 중국 정책분석업체인 트리비움차이나는 “중국 태양광업계 경영진은 미국, 유럽연합(EU), 인도 등이 자체적으로 태양광산업을 발전시키려는 상황에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웨이퍼 제조 기술이 수출 금지 목록에 추가되는 건 미국에도 부담이다. 최근 미국 빅테크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위해 태양광 전력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미국 청정전력협회에 따르면 미국 기업이 청정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한 누적 계약 규모는 77GW다. 구매 규모가 큰 업체 1~4위는 아마존, 메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이다. 태양광은 미국 기업들의 청정에너지 구매 비중의 58%를 차지한다.

수출 규제가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본 투자은행인 디아와캐피털마켓은 “IRA 보조금을 노리는 중국 업체들의 미국 시설 투자에 차질을 야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