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직원(왼쪽)과 현대제철 직원(오른쪽)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폐수슬러지(침전물)와 이를 재활용해 제조한 형석 대체품을 들어보이고 있다. 삼성전자·현대제철  제공
삼성전자 직원(왼쪽)과 현대제철 직원(오른쪽)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폐수슬러지(침전물)와 이를 재활용해 제조한 형석 대체품을 들어보이고 있다. 삼성전자·현대제철 제공
삼성전자와 현대제철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슬러지(침전물)를 제철원료로 재사용할 수 있는 신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제철원료 구매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물 양도 줄여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됐다.

제철소 제강 공정에서는 쇳물 속에 있는 황, 인 등 불순물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광물인 형석(螢石)을 투입한다. 형석은 주로 플루오린화칼슘(CaF2)으로 구성돼 있다. 두 회사는 반도체 폐수슬러지의 주성분이 형석과 비슷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반도체 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처리 과정에서 나온 침전물인 폐수슬러지에는 플루오린화칼슘이 50~60%가량 포함돼 있다.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는 전체 폐기물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삼성전자와 현대제철, 재활용업체 제철세라믹 등 3사는 지난해 기술협약을 맺고 폐수침전물 재활용 공동 연구에 들어갔다. 지난 4월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30t의 형석 대체품을 활용한 철강재 생산에 성공했다. 이어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과학원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기술 승인을 받았다.

형석은 남미와 중국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하는 광물이다. 현대제철은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형석 구매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연간 약 2만t의 형석을 수입해 사용한다. 이르면 다음달 말부터 1만여t을 폐수침전물 재활용품으로 대체하고 향후 사용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시멘트 공장에 보내지거나 버려지던 폐수침전물 재활용 분야를 확대할 수 있게 됐다. 국립환경과학원도 이 기술을 2016년 7월 재활용환경성평가 제도가 신설된 이후 가장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했다.

장성대 삼성전자 DS부문 환경안전센터장(전무)은 “앞으로도 폐기물 재활용률 100% 달성을 목표로 친환경 자원순환 기술 개발을 지속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주태 현대제철 연구개발·품질본부장(전무)은 “이번 재활용 기술을 통한 자원 확보는 친환경 미래 제철소의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자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