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으로 부산부두가 마비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비상대책으로 마련한 철도수송확대 방안에 대해 철도노조가 수용하지 못하겠다고 나섰다. 나라 기강이 어쩌다가 여기까지 왔는지 참으로 기가 막힌다. 이러고서도 경제가 온존할 수 있을까. 한국의 강성노조는 세계적으로 소문이 날 정도로 고질병이 됐다. 해외수주와 외국기업 유치를 가로막는 장애요인 1호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툭하면 파업으로 생산이 중단되는데다 어느날 갑자기 물류까지 마비되는 나라에 과연 누가 상품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을 하겠는가. 미국 GE는 지난달의 철도파업 위기를 계기로 삼성전자에 한국내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물량을 중국현지법인으로 돌려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두산중공업도 지난해 장기파업을 겪으면서 GE로부터 2억달러어치의 터빈 제품 주문을 취소당했다. 이 회사는 지난 2001년엔 1조원이 넘는 담수화설비 일감을 따냈지만 지난해 이후 단 1달러도 수주하지 못해 납품업체들까지 일손을 놓고 있다고 한다. 피해는 제조업체만이 아니다. 부산항도 화물을 제때 수송하지 못해 국제적 신뢰에 치명상을 입게 됐다. 한진해운은 14일 부산항으로 입항예정이던 바이칼세나토호의 기항지를 중국 상하이로 변경했고 환적화물처리도 잠정적으로 중단키로 했다. 외국선사들의 경우는 선박항로 자체를 중국 상하이나 일본 고베 등 경쟁 항구로 옮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부산항은 취급화물의 41%가 일반화물보다 부가가치가 2.5배 높은 환적화물이어서 이들이 항로를 바꿀 경우의 타격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부산부두가 파업에 돌입한 바로 그날 노무현 대통령은 미국기업들에 한국투자를 권고하고 있었다니 참으로 웃지 못할 일이다. 우리나라의 노사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보고서를 봐도 분명히 드러난다. 이 조사에서 한국은 외국인투자유치환경 및 노사관계 부문에서 조사대상 30개국중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종합 국가경쟁력도 15위에 그쳐 새정부 들어 5단계나 추락했다. 그런데도 노동계는 외국기업 유치 촉진을 위해 만든 경제특구법마저 폐지하라고 요구하는 판이다. 파업은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유력한 수단임은 분명하지만 기업과 나라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결국은 일감 및 일자리 감소라는 형태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게 마련이다. 때문에 파업은 최대한 자제돼야 하고 정부도 장기적 관점에서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