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 나가라.' '공장문 닫으라는 얘기냐.' 지방도시들이 팽창하면서 공장이전 문제를 놓고 지자체들과 토착기업들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지난 2000년 공장부지가 목포시에 의해 주거지역으로 바뀐 행남자기 목포공장. 재산세가 3천4백24만여원으로 1천여만원 이상 늘어났다. 과세기준이 공단에서 주거지로 바뀐데 따른 현상이다. 방음벽과 분진방지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등 각종 환경대책도 그 전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엄격하게 적용받게 됐다. 목포시는 행남자기 공장의 이전을 이런 식으로 압박하고 있다. 회사측은 공장을 이전하면 최소 2백억원대의 이전비용 부담은 물론 유통비 증가 등으로 6개월여 동안 최소한 4백억원대의 매출손실을 각오해야 한다면서 난감해 하고 있다. 이전을 강요당하는 기업들의 불만은 전국적으로 한결같다. 어떤 공장도 처음엔 도시와 멀리 떨어진 외곽에 자리잡게 마련이다. 공장이 먼저 들어서고 아파트 등이 나중에 들어왔기 때문에 각종 민원을 공장 탓으로 돌리는 것은 억울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지자체들의 무계획적인 도시행정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했는데도 기업에 대해 일방적인 양보(이전)를 강요하는 것은 가뜩이나 형편이 어려운 지방기업을 고사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말한다. 인천시는 오는 2010년을 목표로 한 도시기본계획에서 인천항 주변 10㎢ 가량을 기존 준공업, 공업지역에서 주거 업무 상업지역으로 변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영진, 선광 등 지역 대표 기업을 포함, 3백여개 제조업체들의 이전이 추진되고 있다. 해당 업체들은 막대한 이전비용과 고용문제, 종업원자녀 교육문제 등을 내세우며 반발하고 있다. 시는 영종도와 송도, 검단 등지에 대체공단을 조성한다는 대책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대체공단의 입주조건이 까다롭고 땅값이 비싸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대전의 경우 기존 1,2,3공단을 대규모 아파트단지로 개발한다는 시의 계획이 부상하면서 입주업체들이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전시 태평동 일대의 경우 대전피혁 성부실업 대원제지 등이 6천가구 규모의 아파트 건설로 인해 공장을 내주고 시외곽으로 이전했다. 목포시는 지난 2000년 목포지방공단을 몽땅 주거지역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행남자기, 삼양사 목포공장과 삼학도내 한국제분 등 50여년 동안 지역 경제를 이끌어온 대표기업들이 시의 이전요구에 시달리고 있다. 전남대 지역개발학과 송인성 교수는 "지자제 실시 이후 단체장들이 당장의 '표수'만 의식해서 공장을 몰아내고 아파트를 짓는 등 개발사업을 경쟁적으로 벌이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도시에서 토착기업들이 '고비용'을 감수하면서 밀려나고 있다"며 "체계적인 개발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최성국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