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가 흉금 없는 대화를 통해 기업 정보를 공유하고 최상의 작업환경을 조성해 이익을 최대한 늘려야한다. 그리고 극대화된 이익을 공정히 배분할 때 신노사문화가 가능해진다"

지난 2월 노동부가 청와대에 업무보고를 할 때 김대중 대통령은 이같이 말하며 신노사문화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표명했다.

"참여"와 "협력"의 새로운 노사문화를 이룩해야만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달리말해 대립과 갈등의 구태의연한 노사문화를 갖고는 우리 경제의 앞날이 없다는 인식도 여기에 깔려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노동부는 지난 99년부터 신노사문화 창출을 위한 계획을 마련해 왔다.

지난해에는 신노사문화 6대 정책과제를 확정한뒤 이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갔다.

신노사문화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한지 1년 6개월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곳곳에서 가시적인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노동부는 여기에 결코 만족하지 않고 있다.

그동안 나타난 문제점들을 보완,신노사문화 사업을 장기적인 개혁과제로 놓고 꾸준히 추진하겠다는 각오다.

<>성과=일단 신노사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다.

노동부가 1백인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노사문화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88.2%에 달했다.

신노사문화에 공감하거나 동참하고 싶다는 응답도 59.1%를 기록했다.

이는 총9백61회에 걸친 지역순회 설명회 및 연찬회를 통해 신노사문화를 적극적으로 홍보한 결과이다.

6대 정책과제별로도 적잖은 성과를 거뒀다.

"열린 경영" 확대차원에서 분기마다 노사협의회 개최일을 "기업경영 설명회의 날"로 정해 근로자들에게 경영실적을 설명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토록 했다.

이같은 조치의 효과는 곧바로 나타났다.

노사간 경영정보를 공유하는 기업체(근로자 1백인이상 기준)가 지난 97년 48%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63.8%로 늘어났다.

성과배분제를 도입하는 기업도 지난 99년 6백89곳에서 지난 1월 1천25곳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사회적인 영향력이 있는 기업이 신노사문화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도 큰 성과다.

LG전자 쌍용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노사간 대화를 통한 동반자관계 구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계획=정부는 기업들이 신노사문화 사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상생의 노사관계" 틀을 산업현장에 정착시키는데 역점을 둘 계획이다.

우선 노.사간 대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사합동 토론회 등을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다.

노사관계가 불안정한 기업의 경우 공인노무사 노사관계전문가를 통해 노무진단 서비스를 받도록 한다.

근로자들이 경영전반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기업경영 이해교육도 강화한다.

작업장 혁신을 원하는 기업들을 위해 국내외 우수사례를 발굴,국내 실정에 맞는 메뉴얼을 제작해 보급한다.

노동교육원이 혁신기법도 컨설팅해준다.

신노사문화를 실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재정지원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지원분야 규모 등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실시한다.

홍성원 기자 anim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