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은 26일 중국 위안화의 환율변동폭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로렌스 서머스 미국 재무장관과 샹화이청 중국 재정부장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선진 7개국과 13개 신흥시장국의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끝난 후 별도 회동,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관련해 위안화에 대한 통제를 점진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위안화 환율변동폭 확대정도와 시기에 국제금융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WTO 가입을 앞두고 사실상 현행의 고정환율제를 변동환율제로 전환하기로 연초 내부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위안화 환율은 기준치인 ''1달러=8.28위안''에서 상하변동폭을 0.3%로 제한,시장요인을 거의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WTO에 가입할 경우 실제통화가치와 공식환율간에 심한 괴리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됐다.

특히 세계 무역 규모 14위인 중국경제가 개방되면 수출입에 따른 환율변동이 커질 수밖에 없는 점도 변동환율제 도입의 근거로 제시돼 왔다.

국제금융 전문가들은 이날 서머스 장관과 샹 부장의 합의를 중국의 환율변동폭 확대가 임박했다는 메시지로 받아들이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중국의 WTO 가입이 기정사실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내년 초께 현재 0.3%인 상하변동폭을 3∼5%로 늘리고 점진적으로 변동폭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위안화 환율변동폭이 확대될 경우 위안화가 절상될지,아니면 절하될지는 불투명하다.

이와관련,경제적 측면에서는 절상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난 3·4분기 8.2% 성장하는 등 3분기 연속 8%대의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데다 외환보유고가 세계 2,3위 수준인 1천5백80억달러에 달하기 때문이다.

수출호조로 올 상반기 1백24억달러의 무역흑자를 낸 데다 연간으로는 최소 2백억달러의 흑자가 예상되는 것도 위안화 절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반면 최근 중국의 수출경쟁국인 동남아국가들의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있어 중국정부가 위안화 절상을 용인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쉽사리 통화절상을 점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