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3일자) 1년새 배로 늘어난 순외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말 우리나라의 총외채는 1천20억달러, 총외채에서 대외자산보유액을
뺀 순외채는 3백50억달러인 것으로 재정경제원이 추정했다.
총외채는 지난 95년말(7백84억달러)보다 30%, 순외채는 1백6%늘어난
셈이다.
국민 한 사람당 외채가 총외채기준으로는 1백91만원, 순외채로 따지더라도
66만원이나 된다.
GNP(국민총생산)대비 총외채비중이 21%, 순외채만도 7%를 웃돈다는 계산이
나온다.
작년중 경상수지적자가 2백30억달러에 달해 외채 역시 큰 폭으로 늘어날게
이미 예고됐던 일이지만, 그래도 참담한 느낌이다.
한해사이에 순외채가 배이상 늘어났다는 점이 특히 그렇다.
90년대후반에는 대외자산이 총외채보다 많아 순외채로 따지면 채무국이
아니라 채권국이 될 것이라더니 이게 웬말인가.
이제 외환관리는 정말 중차대한 문제로 등장했다.
전체 외채중 58%가 단기성이라는 점에서도 그렇고,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1백65억달러나 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이 자금은 성격상 외채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언제든지 빠져나갈
수 있는 돈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부담"은 더 클지도 모른다.
멕시코사태가 바로 핫머니가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빚어졌다는 점을
보더라도 그렇다.
물론 우리는 멕시코와는 사정이 다르기는 하다.
GDP(국내총생산)에 대한 외채 비중, 단기부채에 대한 외환보유고비율,
GDP에 대한 경상적자비율등 어느 것을 봐도 외환위기당시(94년)의
멕시코보다는 좋다.
그러나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입에 따른 금융시장 전면개방 초기단계에
있다는 점이나 경상수지적자가 늘고 단기부채증가세가 뚜렷하다는 점,
외환보유고가 줄고있다는 점등은 멕시코와 비슷한 패턴으로 우려할만 하다.
증시불안이 쉽게 멈출 것같지 않다는 점은 외환관리에도 적잖은
부담이다.
DR(주식예탁증서)발행등을 통한 외자조달이 막히는 꼴인데다 세계경제가
활황으로 돌아설 경우 국내증시를 떠나려는 핫머니도 결코 없지만은 않을
것이다.
멕시코의 경우 환율제도를 바꿔 페소화에 대한 대폭적인 평가절하를
단행한게 핫머니유출의 계기가 됐었는데, 우리도 현행 시장평균환율제
(일일변동폭2.25%)를 자유변동환율제로 바꿀 예정으로 있어 비슷한 점이
있다.
현행 환율이 그렇게 실세와 괴리돼 있지는 않기 때문에 환율제도가
바뀌더라도 추가로 대폭적인 원화절하가 빚어질 가능성은 높지않다고
할지 모르나 걱정되는 점도 적지않다.
만성적인 경상적자구조에서는 항상 실세이상으로 절하기대가 팽배해
이런 심리적인 요인이 또다른 환율불안을 부르게 되는게 상례이기
때문이다.
경상적자를 반으로 줄이라는 대통령지시가 있었지만 1백억달러를
훨씬 웃도는, 어쩌면 작년보다 별로 적지도 않은 적자가 발생할 전망이다.
대외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한 외환보유고 유지, 합리성있는
환율운용등 외환관리에 만전을 기해 "만일의 사태"가 빚어지지 않게
해야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13일자).
뺀 순외채는 3백50억달러인 것으로 재정경제원이 추정했다.
총외채는 지난 95년말(7백84억달러)보다 30%, 순외채는 1백6%늘어난
셈이다.
국민 한 사람당 외채가 총외채기준으로는 1백91만원, 순외채로 따지더라도
66만원이나 된다.
GNP(국민총생산)대비 총외채비중이 21%, 순외채만도 7%를 웃돈다는 계산이
나온다.
작년중 경상수지적자가 2백30억달러에 달해 외채 역시 큰 폭으로 늘어날게
이미 예고됐던 일이지만, 그래도 참담한 느낌이다.
한해사이에 순외채가 배이상 늘어났다는 점이 특히 그렇다.
90년대후반에는 대외자산이 총외채보다 많아 순외채로 따지면 채무국이
아니라 채권국이 될 것이라더니 이게 웬말인가.
이제 외환관리는 정말 중차대한 문제로 등장했다.
전체 외채중 58%가 단기성이라는 점에서도 그렇고,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1백65억달러나 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이 자금은 성격상 외채와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언제든지 빠져나갈
수 있는 돈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부담"은 더 클지도 모른다.
멕시코사태가 바로 핫머니가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빚어졌다는 점을
보더라도 그렇다.
물론 우리는 멕시코와는 사정이 다르기는 하다.
GDP(국내총생산)에 대한 외채 비중, 단기부채에 대한 외환보유고비율,
GDP에 대한 경상적자비율등 어느 것을 봐도 외환위기당시(94년)의
멕시코보다는 좋다.
그러나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입에 따른 금융시장 전면개방 초기단계에
있다는 점이나 경상수지적자가 늘고 단기부채증가세가 뚜렷하다는 점,
외환보유고가 줄고있다는 점등은 멕시코와 비슷한 패턴으로 우려할만 하다.
증시불안이 쉽게 멈출 것같지 않다는 점은 외환관리에도 적잖은
부담이다.
DR(주식예탁증서)발행등을 통한 외자조달이 막히는 꼴인데다 세계경제가
활황으로 돌아설 경우 국내증시를 떠나려는 핫머니도 결코 없지만은 않을
것이다.
멕시코의 경우 환율제도를 바꿔 페소화에 대한 대폭적인 평가절하를
단행한게 핫머니유출의 계기가 됐었는데, 우리도 현행 시장평균환율제
(일일변동폭2.25%)를 자유변동환율제로 바꿀 예정으로 있어 비슷한 점이
있다.
현행 환율이 그렇게 실세와 괴리돼 있지는 않기 때문에 환율제도가
바뀌더라도 추가로 대폭적인 원화절하가 빚어질 가능성은 높지않다고
할지 모르나 걱정되는 점도 적지않다.
만성적인 경상적자구조에서는 항상 실세이상으로 절하기대가 팽배해
이런 심리적인 요인이 또다른 환율불안을 부르게 되는게 상례이기
때문이다.
경상적자를 반으로 줄이라는 대통령지시가 있었지만 1백억달러를
훨씬 웃도는, 어쩌면 작년보다 별로 적지도 않은 적자가 발생할 전망이다.
대외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적정한 외환보유고 유지, 합리성있는
환율운용등 외환관리에 만전을 기해 "만일의 사태"가 빚어지지 않게
해야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