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칼럼
백태영 ISSB 위원. 사진 : 서범세 기자
백태영 ISSB 위원. 사진 : 서범세 기자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교육 현장에서 기업 ESG 담당자가 던진 5가지 질문은 ESG 경영에 대한 기업의 생각과 오해를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해당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을 빌려 ESG 경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첫 질문은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을 기업에만 부담시키는 것이 합당하느냐는 것이다. 정부의 역할을 민간에 전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이다. 기업이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면 책임을 지는 것은 공정하다. 기후변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온실가스는 시장에서 거래될 수 없는 부정적 외부효과였으나 정부는 이를 거래하기 위해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했다. 정부는 정부 부문의 배출은 직접 억제하고, 민간 부문은 유인 장치를 마련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

두 번째는 자본주의 체제의 수정 없이 ESG 지향점에 도달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기업의 존재 목적이자 본질인 영리 추구와 이상적 윤리가 공존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다. 이 질문의 기본 가정은 ESG 경영에 윤리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ESG 경영을 사회적책임이나 윤리경영 관점에서 실행하는 기업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기업도 있다. 일반적으로 ESG 경영을 하는 기업은 경영 목적을 스스로 영리 추구 이상으로 확대했거나, 여러 이유로 ESG 경영을 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유리했다고 판단해서다. 체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규제가 동반되는 수정자본주의가 현재 자본주의의 모습이다. ESG 경영에 대한 강조는 좀 더 나은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ESG 성과 달성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보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도 있다. ESG 경영이 사회 공헌 활동이나 홍보에 그친다면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이 되는 혜택은 낮을 것이다. 그러나 ESG 경영이 재무 중대성, 기업가치 관점이라면 ESG 관련 위험 관리와 기회 추구가 당연히 기업의 존속과 성장에 도움이 된다. 비용이 아닌 투자가 될 수 있는 기업가치를 증진하는 ESG 활동이 경영자와 투자자가 원하는 ESG 경영이다.

선진국이 이머징 국가(신흥 개발국)를 견제하기 위한 무역장벽 장치로 ESG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유럽의 환경과 사회문제를 중시하는 문화와 정치 분위기가 선도적 역할을 하게 만들었다고 본다. 다만, 미국은 ESG 이슈가 정치 쟁점화되어 입장이 주별로 통일되지 않고 있다. 온실가스배출량의 절대 규모로 보면 일본, 한국이 상위에 있는데 이 나라들이 이머징 국가는 아니다.

ESG는 과연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해내기 위한 전문가 집단(컨설턴트, 로펌, 회계법인 등)의 합작품 아니냐는 질문도 나온다. 언급된 집단이 우리나라나 전 세계 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정책 방향마다 득을 보는 집단이 있고, 피해를 보는 집단이 나온다. 당연히 득을 보는 집단은 해당 정책을 지지하고, 피해를 보는 집단은 반대한다. 과거 환경·사회 임팩트 관점의 사회운동은 UN 등 국제기구와 민간 단체가 주도했고, 최근 기업과 자본시장 보호 관점의 움직임은 국제적 경제, 경영 관련 기구와 정부가 주도한다. 결론적으로 보면, 사회 공헌이나 사회적책임 관점이 아니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ESG 경영의 인식과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백태영 ISSB 위원·성균관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