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인도네시아에서 일하는 외국사람들, TKA 이야기

    2015년 인도네시아에 부임할 때 현지 금융감독청(OJK)이 주관하는 인터뷰 형태의 시험을 치렀다. 인도네시아에서 금융회사의 주주나 이사, 커미셔너 등으로 취임하려면 그 직에 적합한 사람인지를 보는 시험(Fit and Proper Test)을 치른다. 그런데 2013년부터 2016년에 규정이 바뀌기까지 3년간은 금융회사에서 일하려면 외국인은 직위에 관계없이 모두 이 시험을 치러야만 했다. 떨어지는 사람도 꽤 많은 시험이라 바짝 긴장을 하고 시험...

  • '종교도 인터넷으로' 인니 젊은이들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다의 이슬람 신자가 있는 나라이다. 2억 7천만 인구 중 약 85% 이상이 무슬림인 것으로 추산된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무슬림 단체는 NU(Nahdatul Ulama)와 무함마디야(Muhammadiyah) 두 곳인데, NU는 최소 4천만명 이상 무함마디야는 최소 3천만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NU는 단일 기준 세계 최대의 이슬람 단체이기도 하다. 네덜란드 식민지배 시기였던 1912년(무...

  • 교통은 복지? 자카르타 대중교통

    자카르타에서 일할 때 차량 홀짝제를 피해 종종 아침에 일찍 출근한 적이 있다. 출근시간인 8시보다도 한시간 이상 빠른 7시 이전에 사무실에 도착하였다. 그런데 그 시간에도 사무실에는 꽤 많은 직원들이 나와 있다. 아침 정체를 피해서 새벽같이 출근을 하는 것이다. 와서는 한국드라마 같은 것들을 보기도 하지만 새벽같이 일어나 집을 나선 것이 피곤하여 탈의실에 간이 매트리스를 깔고 잠을 청하는 직원도 많다. 집에서 채 머리를 말릴 시간도 없이 젖은 ...

  • 인도네시아 퇴직금 이야기

    인도네시아 법인에서 일할 때 회사에 15년 정도 근무한 직원의 퇴직 절차를 처리한 적이 있다. 그 전부터 여러 기업들로부터 인도네시아 퇴직금 액수가 매우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는데 직접 관련 규정을 찾아보며 정해진 계산법과 절차에 따라 지급해 보게 된 것이다. 15년을 조금 넘게 일했다는 이 직원은 약 27.6개월분의 급여를 받아서 퇴직하였다. 아무래도 금융회사는 제조기업보다는 급여 수준이 센 편이라 퇴직금 액수도 상당했다. ...

  • 인도네시아의 스포츠 입국(立國), 그리고 우리나라와의 인연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신태용 감독이 선임되었다. 인도네시아 언론들도 신태용 감독의 선수시절 경력과 함께 지도자로서의 성과를 짚으며 기대를 걸고 있다. 지난 월드컵에서 예선 탈락했지만 독일을 2:0으로 격침시킨 팀을 이끈 지도자라는 설명도 빠지지 않는다. 그러고 보면 1986년 멕시코 월드컵 이전만 해도 우리 대표팀이 킹스컵이니 메르데카컵이니, 코리아컵이니 하는 지역 대회에서 인도네시아 대표팀과 경기할 기회가 제법 많았던...

  • 인도네시아 최저임금 이야기

    11월 발표된 자카르타 지역 2020년 최저임금은 월 4,267,349 루피아이다. (한화 약 35만 5천원) 이는 2019년의 약 390만 루피아에서 8.51%가 오른 수치이다. 섬유와 전자, 자동차 부품 등 생산시설이 모여있는 인근 지역 최저임금 수준을 보면 까라왕 Rp 4,594,324(약 38만 5천원), 버까시(시) Rp 4,589,708(약 38만 5천원), 뿌르와카르타 Rp 4,039,067(약 33만 8천원), 수까부미 Rp 3,...

  • 인력구조 : 튼튼한 허리가 아쉬운 인니, 읽어야 산다.

    최근 파키스탄 출장에서 개도국 공공부문 인력과 일을 많이 해 본 국내 전력 전문가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해당 분야에서 그 분이 경험한 바에 따르면 개도국 기관도 리더는 식견과 능력이 뛰어난데, 실무진으로 갈수록 능력치가 떨어져 좋은 전략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것이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똑같이 느꼈던 터라 더 크게 공감이 되었다. 사실 지금과 같은 경제구조에서 인도네시아의 인적자원은 질과 양의 측면에서 나쁘지 않...

  • 연무 두고 갈등 빚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14년 전인 2005년 말레이반도 서해안에 위치한 말레이시아 주요도시를 여행할 때의 일이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 내리니 짙은 안개가 껴 있었다. 타는 냄새도 났다. 책에서만 읽었던 런던스모그 같은 용어가 머리 속에 떠올랐다. 말레이시아 공기가 원래 이런 것인지, 다른 요인이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지금처럼 미세먼지나 대기질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을 때였기 때문이다. 남쪽인 말라카로 내려오니 공기질은 더 안 좋아졌다. 타는 냄새도 심해졌다. 아침에 숙소에서 일어나 문 앞에 와 있는 신문을 보고서야 이 연무의 원인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방에서 발생한 산불임을 알 수 있었다. 공기질이 안 좋아 학교들이 문을 닫았다는 기사도 보이고, 노약자나 민감군들은 바깥활동에 주의하라는 권고들도 실려 있었다. 300이니 600이니 공기질을 나타내는 숫자들도 도시 별로 소개되었다. 그 수치가 공기가 얼마나 안 좋다는 것인지도 전혀 감이 없었다. 지금도 기억나는 것은 그 신문 1면에 크게 써 있던 ‘언제까지 우리가 이 이웃을 참야줘야 하는가?’ 라는 제목이다. 벌써 14년 전의 일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나라들이 여러 이유로 갈등을 빚는 것은 흔한 일이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도 이전부터 영토분쟁, 말레이시아 內 인도네시아 근로자의 처우문제 등 여러 이슈를 놓고 티격태격 해왔다. 지금은 수마트라섬과 보르네오섬(인도네시아령은 칼리만탄)에서 발생하는 연무 때문에 발생하는 갈등이 상당하다.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연례행사가 된 연무는 주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 중부와 남부, 그리고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섬에서 발생하는 산불 때문에 일어난다. 말

  • 인니에 뜨는 할랄 마케팅, 배경은?

    올해 10월 17일부터 인도네시아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은 할랄인증을 득해야 한다. (할랄 : '허용되다'는 뜻으로 이슬람 율법에서 허용하는 행위)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新할랄법'으로 소개하고 있는 '할랄제품보증법' 시행에 따른 것이다. 이 법은 2014년 10월 제정되었는데, 처음 계획대로 5년간의 유예기간을 마치고 이번 달부터 본격 시행된다. 이전까지 할랄인증은 선택이었다. 앞으로는 의무가 된다. 인증 주체도 달라진다. 지금까지는 '이슬람...

  • 인도네시아 휩쓰는 '히즈라' 현상

    ‘히즈라’. 선지자 무함마드가 서기 622년 메카를 떠나 메니다로 이주한 ‘사건’을 일컫는 말이다. 당시 메카는 이슬람을 탄압했다. 초기 이슬람 세력은 새로운 근거지가 필요했다. 이런 의미에서 메니다로의 이전은 이슬람의 실질적인 출발점이다. 히즈라가 이슬람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닌 사건으로 불리는 이유다. 얼마나 중요하던지 이슬람 달력은 히즈라가 일어난 해를 원년으로 삼고 있다. 이 단어가 요즘 인도네시아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무림이면서도 종교적인 계율과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며 살지 않던 사람이 보다 종교적인 원칙에 충실한 삶을 살게 되는 것을 ‘히즈라한다’(berhijrah)는 용어로 표현한다. 개인의 종교적 삶에 있어 중요한 결심과 전환을 히즈라라는 역사적 사건을 빌려 표현하는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인구의 약 85% 이상이 무슬림이며, 단일 국가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슬림이 사는 나라다. 인도네시아의 이슬람은 상대적으로 다원적이고 유연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최근 몇년 사이에 보다 정통적인 교리와 계율 준수를 강조하는 엄격한 형태로 바뀌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히즈라’ 현상이 과거와 다른 점은 대중매체와 SNS, 또래문화의 영향을 통해 특히 젊은 층들을 중심으로 짧은 시간에 눈에 띄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가히 하나의 현상이라고 할만 하다. 지난 6월 인도네시아 유력 시사주간지인 ‘템포(Tempo)’지는 이 히즈라 현상, 그 중에서도 특히 연예계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특집기사로 실었다. 이전까지 락밴드에 소속돼 음악 활동을 하던 가수가 어떤 계기로 명성과 부가 보장된 화려한 연예

  • 투자유치에 갈 길 바쁜 인니.. 깊어가는 시름

    조코위(조코 위도도) 대통령이 화가 났다. 지난달 초 4일 장관들이 참석한 회의에서의 일이다. 대통령은 최근 무역분쟁 등으로 중국에서 해외로 이전한 기업 33개 중 인도네시아로 향한 기업은 하나도 없다는 세계은행 보고서를 인용하며 불편함을 표시하였다. 투자허가 절차에 무언가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이전한 기업들은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캄보디아로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유치 부진이 뼈아픈 이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