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는 주택산업 중심의 건설업를 넘어 다양한 환경 사업을 펼치는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다. 미래 고부가가치인 환경 분야에 기술력을 가진 강소기업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기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업적으로 연관 있는 다른 기업을 인수해 시너지를 내는 볼트온(Bolt-on) 전략의 일환이다. 그 결과 하수 처리, 사업장 폐기물 소각, 의료폐기물 처리 등 각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게 됐다.
○잠재력 있는 환경기업 베팅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환경시설관리(옛 EMC홀딩스) 인수를 시작으로 지난해 6곳, 올해 2곳의 환경기업을 인수했다. 환경기업 인수에 들어간 투자금액만 2조8000억원이 넘는다. 이들 기업에 SK의 경영능력과 시너지를 내 디지털 전환, 생산성 향상, 운영 효율화 등을 도모하고 있다. 그 결과 단순히 쓰레기 처리에만 그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환경사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SK에코플랜트의 청사진을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월 약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전기·전자 폐기물(E-waste) 전문기업 테스를 인수한 것은 SK에코플랜트의 공격적인 투자 중 하나로 꼽힌다. 수명이 다한 스마트폰, 노트북, 서버·저장장치 등 폐IT(정보기술)기기, 폐배터리, 폐가전, 폐태양광 부품 등을 활용하는 사업이다. 지적재산권 보호, 정보 보안, 물류 규제 준수 등의 이슈로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테스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이다. 업계에서 가장 많은 해외 사업장을 보유하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테스는 유럽, 북미, 아시아 등 전 세계에 걸쳐 수거·운반, 정보폐기, 재활용·재사용 등 모든 사업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업이다.
테스 인수는 소각·매립 등 폐기물 관리 위주이던 환경사업에 큰 전환점을 가져왔다는 평가다. 폐기물 제로화를 추구하는 리사이클링으로 사업을 확장,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됐다.
○AI(인공지능) 동원해 폐기물 소각량·오염물질 줄여
폐기물은 수거된 후 선별-수집-운반-재활용-소각·매립 과정을 거친다. 소각은 재활용 다음 절차인데 태우는 폐기물의 성질이 비슷할 때 효과적인 소각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이산화탄소와 소각재가 많이 나오고, 매립지에 묻어야 하는 폐기물 양도 늘어난다. 한정된 영토에서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 수거와 선별이 필수적인 이유다.
SK에코플랜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디지털전환(DT) 솔루션을 총동원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업계 최초로 IT나 e커머스(전자상거래) 업계에서나 쓰던 ‘아마존웹서비스(AWS)’를 이 분야에 도입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다. AWS를 바탕으로 폐기물 소각로 운영 효율을 높이고 소각재와 유해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소각로 AI 솔루션’을 만들어냈다. 폐쇄회로(CCTV)나 센서 등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폐기물 종류를 파악하고 언제 넣으면 더 잘 탈지 AI를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최적의 소각로 운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등 유해 배출 가스도 줄어들 전망이다. 소각장의 진동·전류를 감지해 사전에 설비 장애를 예측함으로써 효과적인 정비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SK에코플랜트는 폐기물 발생부터 최종 처리 과정까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폐기물 관리 디지털 플랫폼’도 개발하고 있다. 폐기물 배출자, 수집운반자, 처리자 등이 IT기기로 쉽게 폐기물 데이터를 입력하고 배출 저감량, 재사용량, 재활용률 등 핵심 지표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게 목표다.
기존 건설 및 에너지 부문과 시너지를 낼 수도 있다. 소각장 굴뚝에 모이는 비산재, 소각 후 바닥에 떨어지는 바닥재를 재활용해 건축 자재로 사용하는 사업을 검토 중이다. 폐기물을 소각할 경우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물을 데우면 스팀을 생성할 수 있고,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수소 연료전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필요한 고열을 폐기물 소각 과정을 바탕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탄소중립, 그린수소, 수소 생태계….’글로벌 시장에서 몇 년 전부터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개선) 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등장한 신조어다. 단어는 어렵지만, 핵심은 간단하다. 유한한 자원인 에너지를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여가면서 풍부하게 쓸 수 있느냐는 점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RE100(알이백)’이라는 캠페인까지 등장하는 마당이다. 이런 트렌드를 일찍 예견했던 SK에코플랜트는 몇 년 전부터 해·바람·물에서 전기를 얻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연료전지 국산화 가속…수소연료전지 밸류체인 갖춰SK에코플랜트는 탄소중립 시대를 오래전부터 준비해 왔다. 2018년 글로벌 연료전지 제조사인 미국 블룸에너지로부터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SOFC)’ 국내 독점 공급권을 체결한 것이 대표적이다. SK가 국내 연료전지 사업에 첫발을 내디딘 순간이었다. SOFC는 세계에서 가장 진화한 연료전지 기술로 꼽힌다. 두 회사는 수년간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탄소 제로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해 왔다.2020년 1월에는 블룸에너지와 SOFC 국산화를 위해 합작법인 ‘블룸SK퓨얼셀’을 설립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경북 구미에 있는 블룸SK퓨얼셀 제조공장을 준공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발전효율을 갖춘 친환경 SOFC를 국내에서 본격 생산하기 시작했다. 올 연말께 구미공장에서 완제품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내년부터는 200MW 이상 생산 가능한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아시아 지역에 판매할 SOFC 역시 이 국내 합작법인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본격적인 해외시장 개척에도 나설 방침이다. ○그린수소 영토 확장그린수소란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나온 전기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해 생산하는 수전해 수소를 말한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월 미국 블룸에너지, 블룸SK퓨얼셀과 함께 국내 최초로 고체산화물 수전해기(SOEC)를 활용해 고효율의 수전해 수소 생산 실증에 성공했다.해외에서도 그린수소 생산거점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지난 4월 동서발전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태양광 기반 그린수소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호주 8개 거점과 중동 등에서 태양광 사업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전력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해 국내에 도입할 계획이다.지난해 11월 3426억원을 투자해 해상풍력터빈 하부구조물 제작기업 삼강엠앤티의 경영권 확보를 위한 지분 31.83%를 인수했다. 또 삼강엠앤티가 발행하는 전환사채(CB)에도 약 1169억원을 투자했다. 1996년 설립된 삼강엠엔티는 해상풍력터빈 하부구조물을 비롯해 후육강관 및 조선, 플랜트 구조물들을 만드는 코스닥 상장사다.SK에코플랜트는 삼강엠엔티 투자를 통해 해상풍력 발전의 핵심인 하부구조물 제작역량을 확보하고 늘어나는 해상풍력 수요에 대비해 생산량을 증설할 계획이다. 해상풍력 발전은 해저 지반에 기초를 세우는 고정식이 대다수이나 향후에는 먼바다에 풍력터빈을 부표처럼 띄우는 부유식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부유식 해상풍력의 부유체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시장 선점에 나설 방침이다. ○지붕 태양광 사업도 적극 나서올 1월에는 베트남 현지 지붕태양광전문 기업 나미솔라(Nami Solar)와 협업해 4년간 총 2억달러, 250MW 규모의 지붕 태양광 사업에 투자하기로 약정했다. 지붕 태양광은 건물 지붕에 패널을 설치하는 분산형 발전방식이다. 별도의 부지 확보가 필요 없고 입지 규제에서 자유로운 게 장점이다.두 회사는 앞서 지난해 8월 이번 사업 추진을 위한 합작법인 ‘새턴솔라에너지’를 설립한 바 있다. 양사의 공동 투자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에서 SK에코플랜트는 탄소배출권 등록발급전환판매 등을 맡는다. 나미솔라는 사업개발, 인허가, 직접전력구매계약(DPPA), EPC(설계조달시공), 운영 등을 담당한다.SK에코플랜트는 이미 지난해 4월 민간 건설사 최초로 베트남에서 추진하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프로그램 CDM(청정개발체계) 사업’으로 등록해 국내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온실가스 감축 사업 실적만큼 UN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인정받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 자체 배출량을 상쇄하거나 다른 기업에 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1군 건설사라는 틀에만 안주했다면 ‘업계 10위권’에 머물렀겠죠. SK에코플랜트는 도전을 멈추지 않은 결과 더 큰 영토를 발견했고 지금은 국내 1위 환경기업이자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기업이 됐습니다.”지난해부터 SK에코플랜트의 시계는 바쁘게 돌아갔다. 고참 직원들 사이에선 ‘최근 10년보다 더 큰 변화가 숨 가쁘게 몰아쳤다’고 말할 정도다. 내년으로 예정된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올 초 신설 조직이 꾸려졌다. IPO, 신규 투자, 사업 전략을 준비하는 총괄 조직인 ‘Corp. strategy(기업전략) 센터’다. 유사 업종 기업을 인수해 시너지를 내는 ‘볼트온(Bolt-on)’ 전략을 적극적으로 구사하고 있다.이 조직의 수장인 조성옥 센터장은 1975년생으로 최고 임원으로는 젊은 나이에 속한다. SK경제경영연구소, SK텔레콤 경영기획팀, SK㈜ 디지털투자센터 그룹장을 역임하며 사내 ‘전략통’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SK에코플랜트가 변화에 나선 게 지난해부터여서 대기업이 큰 틀을 바꾸기에 충분한 시간은 아니다”면서도 “내년에는 분명 투자자와 시장으로부터 비전을 확실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상장하면 기업 가치를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지난달 IPO 상장 준비를 위한 주관사를 선정했습니다. 내년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기업가치를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분투하는 해입니다.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활용까지, 국내뿐 아니라 동남아에도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환경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수소연료전지, 태양광·해상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최근 K-OTC(한국장외주식시장)에서 가치를 주당 9만원 정도로 평가받고 있지만, IPO 때는 그보다 훨씬 높은 가격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환경사업은 영세하고 낙후된 분야라는 인식이 강합니다.“모든 산업은 발전하기 위해 기업화 과정을 겪습니다. 열악한 작업환경 때문에 대부분이 꺼리는 사업이지만 쓰레기 매립과 소각, 하수 처리 등은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기업이 나서 효율성과 기술력에 바탕을 둔 업무 고도화에 나서야 합니다. 그동안 적법하지 않은 방법으로 폐기물을 처리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준법과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여기는 SK가 환경사업을 선도하면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환경사업이 과연 돈이 될까요.“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입니다. 다수의 글로벌 사모펀드가 여러 환경 기업의 자산을 인수하는 데 발 벗고 나서고 있습니다. 물론 SK가 환경사업에 적극적인 이유는 사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겠다는 자신이 있어서입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SK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입니다. 각종 폐기물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재활용해 지속가능한 지구, 지속가능한 인류의 삶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가치(SV)와 경제적 가치(EV)를 모두 잡겠다는 게 SK의 경영 기조입니다.”▷과거 주력이던 건설업은 축소되나요.“건설업은 현재 수익을 내는 캐시카우인 만큼 잘 가꿔나갈 것입니다. 올 하반기엔 기존 ‘SK뷰’를 대체하거나 보강할 새 브랜드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재건축, 재개발 등 기존의 국내 건설사업이 회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 내외입니다. 50%가 넘는 다른 대형 건설사에 비해 비중이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만큼 새로운 영역에서 성과를 내 사업 다각화에 성공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환경과 에너지, 건설 세 포트폴리오가 SK에코플랜트를 떠받치는 축입니다.”▷기업이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뜻의 ‘RE100’이라는 용어가 최근 화제가 됐습니다.“RE100이야말로 우리에게 정말 큰 기회입니다. 이미 SK그룹이 국내 기업 중 가장 먼저 RE100을 선언했기에 우리는 그 솔루션을 제공할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결국 모든 기업이 맞이할 미래인데, RE100을 실천하려면 건설 환경 에너지 등의 포트폴리오를 모두 갖춘 SK에코플랜트가 최적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올해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연료전지를 비롯해 태양광,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영역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고 미국과 동남아시아에 진출해 시장을 넓혀갈 계획입니다. 다가올 수소경제를 대비해 관련 자산, 기술, 솔루션을 지속해서 확보하는 등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해 나갈 계획입니다.”▷건설·에너지·환경 등 이질적으로 보이는 세 사업모델을 한 회사가 꾸려갈 수 있을까요.“건설업에서 축적해 온 엔지니어링 및 사업개발 역량을 환경·에너지 영역으로 활용을 넓혔습니다. 소각·매립 등 기존 폐기물 관리에서 나아가 폐기물을 아예 제로로 만드는 리사이클링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장차 그린수소 생산, 연료전지 발전, 해상풍력, 폐기물 에너지화 등으로 탄소배출 제로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제로에너지 건축, 탄소중립 산업단지 개발 등 친환경 인프라를 구축하고 환경과 에너지 사업의 각종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적용해 건설-환경-에너지의 사업 포트폴리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사업모델을 구현할 계획입니다.”▷향후 전략은 무엇입니까.“SK그룹의 ESG(기업·사회·지배구조) 경영 기조에 맞춰 그동안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혁신을 고민하고,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해 왔습니다. 2020년 국내 최대 환경 기업이었던 환경시설관리(구 EMC홀딩스)를 인수하면서 성공적으로 사업모델을 전환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환경기업을 더 인수하면서 불과 2년 만에 수처리 1위, 폐기물 소각 1위, 폐기물 매립 3위의 국내 종합 환경기업으로 발돋움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E-waste(전자기기 폐기물) 선도기업인 테스를 인수했습니다. 기존의 소각, 매립, 폐기물 관리 등 환경산업의 다운스트림(downstream) 영역에서 재활용, 재사용 등 기술 기반의 업스트림(upstream)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폐기물 제로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박종필 기자 jp@hankyung.com
SK에코플랜트는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을 기반으로 주택 분야뿐 아니라 해외 인프라 민관협력(PPP)에서도 글로벌 설계 및 시공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디지털 전환(DT)과 친환경 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한 건설을 추구하는 게 목표다.주택 분야에서 올해 서울, 부산 해운대구, 인천 송도, 충북 청주 등에서 20개 프로젝트, 총 2만1210가구의 아파트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 중 일반분양분은 9953가구다. 다음달 충북 청주시에서 분양 예정인 ‘청주 SK뷰 자이’가 관심을 끈다. 전체 1745가구 중 1097가구를 일반에 공급한다. 청주산업단지와 가깝다.도시정비 분야에서도 보폭을 넓히고 있다. 올해 초 신규 도시정비사업조직을 정비하고 리모델링과 소규모 재건축, 가로주택정비사업 등에도 뛰어들었다. 그 결과 인천 ‘효성동 뉴서울아파트’와 ‘숭의동 현대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을 수주했다.데이터센터 개발 사업에도 본격 진출한다. 지난달 디지털 플랫폼 기업디지털엣지와 총사업비 약 1조원 규모의 120MW 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초기 사업개발부터 EPC(설계·조달·시공)까지 수행해 데이터센터 사업 개발자로 나선다.세계 최초 페트병을 원재료로 활용한 철근 대체물인 G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근 생산에 착수했다. 생산과정에서 철근과 달리 고철, 석회석 등을 사용하지 않아 탄소 배출량이 50% 이상 적다.SK에코플랜트와 GFRP 보강근 생산기술을 보유한 케이씨엠티, 친환경 수지 연구기업 카본화이버앤영이 공동으로 개발했으며, 신규 공장을 구축하고 전 공정 자동화를 통해 기존 철근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글로벌 인프라 민관협력(PPP) 사업은 기존 EPC 방식의 도급공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자금 조달 및 지분 참여를 통한 운영수익 확보가 가능해 사업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본입찰 전 과거 프로젝트 수행 경험, 설계기술 역량 등을 평가하는 사전적격심사(PQ)를 거침으로써 일반적인 경쟁입찰과 달리 과도한 저가 수주로 인한 수익성 저해 위험을 줄일 수 있다.PPP 사업은 발주처는 물론 출자자, 대주단 등 사업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있기 때문에 그 이견을 조율하고 리스크를 분담하는 등 경험과 노하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카자흐스탄 알마티 순환도로 사업은 글로벌 금융 전문지인 PFI로부터 2020년 ‘올해의 유럽 교통 프로젝트’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SK에코플랜트가 국내 업계 최초로 진출한 북유럽 노르웨이의 인프라 민관협력 PPP 사업이 연내 착공에 들어간다. 최근 노르웨이 정부와 약 2조2000억원 규모의 ‘555번 소트라 고속국도 사업’의 금융 약정과 실시협약을 체결했다.SK에코플랜트가 DL이앤씨와 함께 건설한 터키 차나칼레대교가 지난 3월 개통했다. 차나칼레대교는 다르다넬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나뉜 차나칼레주의 랍세키(아시아측)와 겔리볼루(유럽측)를 연결한다. 차나칼레대교 프로젝트는 3.6km의 현수교와 85㎞의 연결도로를 건설하고 약 12년간 운영한 후 터키 정부에 이관하는 BOT(건설·운영·양도) 방식의 PPP 사업이다. 영국 실버타운 터널 프로젝트는 2019년 실시협약과 금융 약정을 마무리 짓고 2025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