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와는 더 높은 주파수 휘파람 소통…언어 가르치고 관심 끌기에 도움"
"엄마 여기 있져"…돌고래도 새끼에게 '아기 말투' 쓴다
인간이 아기에게 말을 걸 때 비음 섞인 높은 톤을 사용하는 건 흔한 일이다.

지능 높은 동물인 돌고래도 어린 개체와 소통할 때는 이와 같은 '아기 말투'를 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미국 햄프셔 칼리지,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 등 소속 연구팀은 전날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1984∼2018년 미국 플로리다주(州) 새러소타만(灣) 인근에 사는 어미 큰돌고래 19마리를 추적 관찰했다.

약 30년 동안 포획과 방류를 반복하며 이들 큰돌고래에게 특수 마이크를 부착한 뒤 이들이 내는 '휘파람' 소리 데이터를 수집한 것이다.

돌고래는 개체마다 고유의 휘파람 소리를 내면서 이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들 큰돌고래가 새끼와 있을 때, 성체와 있을 때, 혼자 있을 때 등 각 상황에 따라 어떤 휘파람 소리를 내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어미 큰돌고래는 새끼와 소통할 때 평소보다 더 높은 주파수의 휘파람 소리를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휘파람 음역도 다른 상황과 비교해 더 넓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세인트앤드루스대학 소속 생물학자 피터 타이악은 "연구 대상이었던 어미 (큰돌고래) 19마리 모두가 이런 현상을 보였다"고 말했다.

큰돌고래가 새끼에게 이 같은 '아기 말투'를 쓰는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처럼 높은 톤의 휘파람 소리가 새끼가 새로운 소리를 발음하는 법을 더 쉽게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새끼의 관심을 끄는 데도 음높이가 높은 소리가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

이는 인간 영유아에게도 적용되는 사항이다.

큰돌고래 외 암컷 붉은털원숭이 등 동물도 새끼에게 이와 같은 '아기 말투'를 사용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연구팀은 "돌고래는 발성 학습과 언어 진화 연구에 있어 훌륭한 동물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