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이 만든 해저케이블이 동해항에서 선적되고 있다. /LS전선 제공
LS전선이 만든 해저케이블이 동해항에서 선적되고 있다. /LS전선 제공
LS가 그룹 차원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지주회사 내에 출범시키며 지속가능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S는 올해 8월 지주회사인 ㈜LS에 내부거래위원회의 기능을 확대·개편한 ESG 위원회를 설치하고 예종석 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을 위원장으로 선임했다. 위원회는 앞으로 그룹 관점의 ESG 방향성 정립 등 LS의 ESG 경영을 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계열사들도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LS전선은 지난 6월 ESG 위원회와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친환경 제품 개발과 안전 관리 등을 강화한다는 내용의 ‘ESG 경영 비전’을 선포했다. 또 2050년까지 전 사업장에서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RE100’을 추진하기로 했다. LS일렉트릭은 유엔글로벌콤팩트 ‘BIS Summit 2021 반부패 어워드’에서 우수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지속적이고 체계화된 ESG 성과관리 노력을 외부로부터 인정받고 있다. 비철금속 제련기업인 LS니꼬동제련도 동(銅) 산업계의 ESG 인증시스템으로 불리는 카퍼마크(Copper Mark) 심사를 신청한 상태다.

LS는 ESG 열풍을 계열사들의 위상을 높일 계기로 판단하고 있다. 환경 보호를 위해 석유 대신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쓰는 ‘전기의 시대(Electrification)’가 도래하면 전기 제품에 집중하고 있는 LS 계열사들이 새로운 기회를 잡게 된다는 설명이다. 구자열 LS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LS의 스마트 기술인 태양광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전기차 부품과 같은 신사업 분야의 성과를 창출해 기업과 사회가 함께 지속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낸 계열사도 있다. LS전선은 지난해 미국, 네덜란드, 바레인 등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또 해상풍력발전사업 세계 1위인 덴마크 오스테드와 해저 케이블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E1은 지난해 ‘신재생 민자발전 사업팀’을 신설한 후 6월 강원 정선에 8㎿급 태양광 발전단지를 준공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