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에서 가장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이 많은 자치구는 성북구로 나타났다. 서초구가 뒤를 이었고 중랑·강동·마포구 등에서도 30개 이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이같은 정비사업 추진현황을 6개월 단위로 상세 공개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앞으로 도시정비법에 따른 재개발·재건축과 소규모정비법에 따른 가로주택·자율주택·소규모 재건축 사업의 단계별 추진현황을 6개월마다 공개한다고 16일 밝혔다. 정비사업이 서울 아파트 공급물량의 60%를 차지하는 만큼 구역별 추진현황을 공개해 시민이 주택공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다. 재개발·재건축은 신규 구역 지정현황과 관리처분인가 이후부터 준공 이전까지 사업 추진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지난 3월 기준 서울 전체에서 총 690개 구역이 정비사업을 진행 중이다. 재개발은 247개, 재건축 165개, 소규모 정비 278개다. 자치구별로는 성북구가 51개 구역, 서초구가 47개 구역으로 가장 많았다. 재건축이 집중적으로 진행 중인 곳은 서초(31개), 강남(24개), 영등포(20개), 송파(19개) 등 집값이 높은 동네로 나타났다. 1위인 성북구에선 재개발(18개)과 가로주택정비사업(23개)이 활발했다. 모아타운 사업이 대거 추진 중인 중랑구는 가로주택정비사업(23개)이 전체 사업의 3분의2를 차지했다.

재개발·재건축 마지막 인허가인 관리처분인가를 통과한 곳은 126개 구역(12만9242가구)이다. 이 중 착공에 들어간 곳은 67개(7만4281가구)다. 아직 착공하지 않은 곳은 59개 구역으로, 이 중 이주를 마치고 착공이 임박한 곳은 26개 구역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공사비 관련 선제적 갈등 조정을 통해 사업지연 없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집중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김장수 서울시 주택공급기획관은 "정비사업 추진현황 공개를 시작으로 정비사업 진행현황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며 "지연 사업장은 신속한 문제해결을 위해 코디네이터를 파견하는 등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