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아파트 아니면 어때"…수천만원 차익 '구축 줍줍' 노려볼까
떴다 하면 수만 명이 몰린다. ‘줍줍’이라 불리는 무순위 청약 얘기다. 서울 강남구 ‘디에이치 퍼스티어 아이파크’(101만명), 경기 하남시 ‘감일 푸르지오 마크베르’(57만명), 고양시 ‘DMC한강자이더헤리티지’(21만명) 등 10만명 넘는 청약자가 접수한 단지만 올해 들어 세 곳이다. 줍줍은 과거 분양 당시 가격에 공급된다. 당첨만 되면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볼 수 있다.

줍줍을 노리는 수요자라면 한국부동산원 청약홈뿐 아니라 LH청약플러스 공고도 수시로 확인하는 게 좋다. 구축 공공아파트 중에서 줍줍(무순위/잔여가구)을 진행하는 단지들이 간혹 있기 때문이다. 당장 이달에만 성남 판교와 오산, 의왕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최대 수천만원 상당의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물건들이 나온다.

판교 산운·판교원 마을서 7가구

"새 아파트 아니면 어때"…수천만원 차익 '구축 줍줍' 노려볼까
성남 판교에선 ‘산운13단지 데시앙’과 ‘판교원12단지 힐스테이트’에서 각각 5가구, 2가구의 공가 가구가 일반매각된다. 10년의 공공임대 후 분양전환을 실시한 단지들이다. 입주자가 분양을 포기해 LH에 명도된 물량을 일반에 무순위로 내놓는다는 얘기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이라면 청약통장이 없어도 청약할 수 있다. 청약 접수 기간은 오는 27~29일이다.

산운13단지 데시앙은 2010년 입주한 1396가구 규모 대단지다. 전용면적 101㎡ 3가구(4층, 20층, 24층)는 모두 13억4576만원에, 전용 115㎡ 2가구는 각각 14억192만원(4층)과 14억5964만원(27층)에 공급된다. 올해 들어 이 아파트의 전용 101㎡ 실거래가는 12억7000만원~14억3000만원 수준이다. 전용 115㎡는 지난달 14억5500만원에 손바뀜했다. 전용 101㎡ 기준 최대 9000만원 수준의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얘기다.

판교원12단지 힐스테이트는 2009년 입주한 428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이번에 전용 101㎡ 1가구(4층)와 전용 115㎡ 1가구(11층)가 각각 13억2973만원, 14억8629만원에 나온다. 지난달 전용 101㎡가 세건 거래됐는데, 금액은 13억3500만원~14억원이었다. 최대 7000만원가량의 차익을 노려볼 수 있다. 두 단지는 모두 서판교 지역에 속해 있다. 동판교에 비해 지하철 인프라 등이 부족한 편이지만, 향후 경강선이 들어설 예정이다.

오산 세교선 37가구 쏟아진다

"새 아파트 아니면 어때"…수천만원 차익 '구축 줍줍' 노려볼까
오산 세교지구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총 37가구가 공급된다. 수도권 거주 무주택자가 대상이다. 지하철 1호선 세마역 인근인 ‘세마역 에듀파크’(2010년 입주·832가구)에서 7가구가 나온다. 모두 전용 59㎡ 물량이다. 공급가격은 2억8350만원(1층)~3억300만원(7층)이다. 이 단지의 가장 최근 실거래가는 3억4000만원(13층)이다. 당첨만 되면 ‘억 소리’까진 아니어도 수천만원의 차익을 거머쥘 수 있다.

좀 더 넓은 평형이 필요하다면 ‘세교센트럴파크’(2009년 입주·849가구)를 노려볼 수 있다. 전용 84㎡만 30가구 쏟아지기 때문이다. 분양가는 3억2250만원(1층)~3억6500만원(16층)이다. 지난달 이 아파트의 전용 84㎡가 세건 거래됐는데, 거래가는 모두 3억6000만원이었다. 이 단지의 청약 접수일도 오는 27~29일이다.

구축 줍줍인 만큼 유의해야 할 점도 있다. LH는 기존 입주자 퇴거 이후 별도 내외부 보수공사 없이 당첨자에게 주택을 인계한다. 시설물의 미비, 파손 등의 사유로 하자보수를 요구할 수 없다. 따라서 당첨자는 주택 개방일에 반드시 내부 상태를 확인한 후 계약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미 지어진 아파트라 발코니 확장 등 추가 비용은 들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다.

의왕선 신혼희망타운 해약 물량 23가구

"새 아파트 아니면 어때"…수천만원 차익 '구축 줍줍' 노려볼까
의왕에선 사실상 신축인 아파트가 공급돼 눈길을 끈다. 의왕역 역세권인 ‘엘리프의왕역’에서 23가구가 나온다. 작년 10월 입주한 981가구 규모 단지다. 신혼희망타운으로 공급된 654가구 중에서, 해약자가 나타나 비어 있게 된 물량을 분양하는 것이다. 앞선 단지들에 비하면 자격은 다소 까다로운 편이다. 의왕에 거주하는 (예비) 신혼부부 등만 신청할 수 있다. 다만 소득 및 자산요건, 과거 특별공급 당첨 여부, 청약저축 가입 여부 등은 따지지 않는다는 게 특징이다.

23가구 모두 전용 55㎡로 공급되는데, 분양가는 3억6537만원~3억8877만원이다. 주변에 비교할 만한 아파트가 없어, 정확한 가격 경쟁력을 따져볼 순 없다. 하지만 3년 전 분양가상한제가 씌워진 가격에 공급되는 만큼, 경쟁력은 충분히 갖췄다는 평가다. 이 아파트보다 지하철역까지 거리가 훨씬 먼 경기 군포 ‘의왕역센트럴파크’ 전용 84㎡ 몸값이 5억2000만원 정도다.

이 주택은 신혼희망타운 전용 주택담보 장기 대출상품에 의무 가입해야 하는 물건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주택가격이 총자산가액 기준을 초과하기 때문이다. 연 1.3%의 낮은 고정금리로 최장 30년간 집값의 70%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택을 매도하거나 대출금을 상환할 때 시세차익의 10~50%를 돌려줘야 한다. 또한 준공이 완료된 단지인 만큼 이전 주인(해약 가구)가 선택한 옵션을 그대로 승계해야 한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