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교육·글로벌 인재 성장 시스템 마련"…연합뉴스 다문화포럼ㅅ

'2022 연합뉴스 다문화 포럼'에서 '다문화 가정 청소년 교육 성과와 향후 과제'에 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왔다.

"특별학급 만들고 이중언어 지원"…다문화청소년 정책 제안 봇물
22일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에서 열린 포럼에서 '다문화 청소년의 특성과 현황의 이해'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최윤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학에 입학하는 다문화 청소년 비율은 전체 청소년보다 크게 낮다"며 "이러한저학력 현상이 굳어지지 않도록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6월 여가부가 발표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다문화가족 자녀가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에 취학하는 비율은 40.5%로, 전체 국민(71.5%)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들의 초등학교(95.3%), 중학교(95.7%), 고등학교(94.5%) 진학률도 전체 국민보다 2∼3%포인트 낮았다.

만 15세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 가운데 비(非)재학·비취업 비율은 2018년(10.3%)보다 3.7%포인트 높아진 14.0%를 기록했다.

최 연구위원은 "연령이나 성장 배경, 외국인 부모의 성별 등을 고려해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교육 지원을 세분화해야 한다"며 "동시에 학업 대신 취업을 택한 비율도 낮은 게 아닌 만큼 이들을 위한 정책도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사회가 지향해야 할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성상환 서울대 독어교육과 교수(한국다문화교육학회장)는 "교육·사회 복지 정책에서 이주민은 선주민과 비교해 정보 접근성이 많이 떨어지는 탓에 학교나 사회 적응이 어렵다"며 "특히 3년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이 같은 격차는 더욱 벌어진 게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해결책으로 ▲ 다문화가족 영유아와 아동에 대한 교육과 돌봄 강화 ▲ 중도 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 정착 지원 ▲ 글로벌 인재 성장 시스템 구축 ▲ 학교 폭력 등으로부터 보호책 마련 ▲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선주민 교육 강화 등을 꼽았다.

성 교수는 "현 초·중등교육법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고, 구체성도 떨어진다"며 "현장 권한을 강화해 학교장 재량을 통한 다문화 특별학급을 구성하는 한편, 다문화 교육지원센터 설립 등의 방안을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특별학급 만들고 이중언어 지원"…다문화청소년 정책 제안 봇물
토론에 나선 오정은 한성대 이민다문화연구원장은 "이중언어 사용은 다문화 청소년이 가진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라며 "이를 활용해 글로벌 인재로 양성할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오 원장은 "다만 이중언어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어와 베트남어를 제외한 소수어 사용자가 소외당하지 않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문화가정 학습도구 개발 스타트업 기업 '에누마코리아'의 김현주 임팩트파트너십 디렉터는 "다문화 청소년이 한글 보충수업에 참여하기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가 '낙인이 찍힐까 걱정이 됐기 때문'이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이는 우리 사회의 다문화 교육이 '학습이 뒤처진 아이들을 구제한다'라거나 '모자란 부분을 채운다'는 시혜적 접근에서 벗어나, 학습자 개개인의 상황과 학습 속도에 맞는 '개별화 학습'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방증이라고 김 디렉터는 해석했다.

그는 "교육에 소외되는 다문화 청소년이 없도록 디지털 교육 기술 활용과 민관 협력 파트너십 활성화 등을 고민해야 한다"며 "이들이 맞춤형 교육 정책을 통해 한국 사회의 주축이 되는 세대로 성장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행사는 다문화 포럼 사이트(https://www.yna.co.kr/2022-site/multicultural)와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볼 수 있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포럼은 기업의 다문화 공헌 사업과 다문화 가족 자립 방안, 다문화 인식 개선 교육, 코로나19 속 관련 정책 방안 등을 주제로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해왔다.

"특별학급 만들고 이중언어 지원"…다문화청소년 정책 제안 봇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