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대책 약발 다했나…강남 재건축 위주로 집값 강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시세
매매가 서울 0.08%로 지난주와 동일
서울 전셋값은 5주째 오름폭 축소
매매가 서울 0.08%로 지난주와 동일
서울 전셋값은 5주째 오름폭 축소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월 넷째주(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87주째 오름세가 이어졌지만 상승폭은 2월 셋째주 0.08%와 동일하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강북권은 대체로 관망세를 보이며 상승폭을 유지하거나 축소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최근 강남권 아파트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조합 설립에 속도를 내면서 가격 상승과 매물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오는 28일 조합설립총회를 개최하는 압구정3구역(현대1∼7, 10·13·14차·대림빌라트) 현대2차 아파트 전용면적 196㎡는 지난달 55억원(6층)에 팔렸다. 작년 8월 같은 면적 종전 최고가인 49억3000만원(13층)보다 5억7000만원 오른 역대 최고가다.
비슷한 시기에 같은 구역에 있는 현대3차 전용 82㎡도 27억원(10층)에 거래가 이뤄지면서 같은 달 동일 면적이 26억원(8층)에 팔린 것과 비교해 며칠 만에 1억원 뛰었다.
ADVERTISEMENT
지방도 0.20%로 지난주와 아파트값 상승폭이 동일했다. 5대 광역시(대전·대구·광주·부산·울산)는 0.27%로 전주의 상승세가 유지됐다. 세종(0.19%)은 조치원읍 일부 중저가 단지와 금남면 위주로 상승세 보이며 지난주(0.16%)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서울 전셋값은 1월 셋째주(0.13%)부터 4주 연속으로 오름폭을 축소하며 2월 셋째주 상승률이 0.08%에 이르렀다. 다만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강북이나 외곽지역은 강세를 이어갔다. 서울 자치구 중 성북구(0.13%)가 많이 올랐으며 노원구·은평구(0.11%) 등도 상승했다.
ADVERTISEMENT
이밖에 수도권(0.30%→0.31%) 전셋값도 상승폭이 소폭 증가했다. 지방(0.20%)은 상승폭이 유지되면서 전국(0.25%) 전체의 전셋값 오름세도 동일한 폭을 기록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