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한국 경제는 환호했다. 국제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상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전체 21개 등급 중 세 번째로, 일본(A+)보다 두 단계 높은 수준이었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신용등급은 한 번도 떨어진 적이 없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2년 유럽 재정위기로 전 세계가 혼란에 빠졌을 때도 한국은 굳건하게 신용등급을 지켜냈다.

하지만 올해 상황은 낙관하기 어렵다. 글로벌 신용평가사가 잇따라 ‘경고음’을 울려대고 있어서다.

무디스는 최근 한국 기업의 신용 위험을 경고하면서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주요 국가 가운데 한국 기업 신용에 대한 부정적 전망 비율이 가장 높다”고 밝혔다. 한국 기업의 도미노 등급 하락이 국가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S&P도 “코로나19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신용등급 하락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멈춰 선 경제를 살리기 위해 11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 2차 추경 편성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피치는 정부의 이 같은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해 “중기적으로 국가 신용등급을 낮추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피치는 “정부 계획대로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지난해 38%에서 2023년 46%로 높아지면 국가 신용등급 하향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