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집값 또 오를라"…'고양 창릉·부천 대장' 서둘러 추가 지정(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양 창릉·부천 대장 '3기 신도시' 추가 지정
집값 반등 기미 보이자 6월→5월 발표 앞당겨
과천·왕숙·계양·교산 등 수도권 6곳에 신도시
마지막 공급카드 될까…내년부터 총 30만가구
집값 반등 기미 보이자 6월→5월 발표 앞당겨
과천·왕숙·계양·교산 등 수도권 6곳에 신도시
마지막 공급카드 될까…내년부터 총 30만가구
정부가 경기 고양 창릉지구와 부천 대장지구를 3기 신도시로 지정했다. 지난해 연말 발표한 과천과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하남 교산에 이은 5·6번째 대규모 택지다. 지난해 가을부터 내놓은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계획의 일환이다. 창릉지구의 경우 공급 규모로는 왕숙1·2신도시(1134만㎡)에 이어 3기 신도시 가운데 두 번째로 크다. 이와 더불어 중소규모 택지 26곳에 5만2000가구도 짓는다. 지난해 공급 계획을 발표한 19만 가구까지 합쳐 총 30만 가구다.
◆서부권 첫 ‘3기 신도시’ 창릉·대장
7일 국토교통부는 고양 창릉지구와 부천 대장지구를 3기 신도시로 추가 지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창릉지구엔 3만8000가구, 대장지구엔 2만 가구가 공급된다. 이들 지역은 교통 여건이 좋은 데다 주변에 일자리가 많은 편이다. 정부는 지난해 3기 신도시 조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교통망 등 서울 접근성과 지역 자족기능을 최우선 조건으로 꼽은 바 있다. 창릉지구와 대장지구는 모두 지리적으로 서울 서부권이 가깝다. 창릉지구는 고양 창릉동과 용두·화전동 일대 813만㎡(3만8000가구) 땅이다. 3기 신도시 예정지 6곳 가운데 왕숙1·2신도시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이 가운데 135만㎡를 자족용지로 구성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판교테크노밸리의 2.7배 규모다. 자족용지는 경의중앙선 전철역 인근으로 조성하고 스타트업 기업 지원 등을 위한 기업지원허브와 기업성장지원센터를 만들어 기업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중앙공원 등 총 330만㎡ 규모의 녹지도 만든다. 30사단 부지의 경우 서울숲의 두 배에 해당하는 도시숲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교통 대책도 나왔다. 6호선 새절역과 고양시청까지 14.5km 구간에 지하철을 신설한다. 가칭 ‘고양선’이다. 입주가 시작된 향동지구엔 역사가 4곳 들어선다. 이 밖에도 화정지구와 대곡역, 고양시청역 등 총 7개 역이 신설된다. 일산신도시 백석동부터 서울문산고속도로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 등 지상 교통망 여건도 개선한다는 게 정부의 밑그림이다. 2만 가구가 계획된 부천 대장지구는 343만㎡ 규모다. 지난해 발표된 인천 계양신도시와 연접하고 있다. 자족용지는 68만㎡로 계획됐다. 기업 입주는 계양테크노밸리와 연계될 전망이다. 부천시는 첨단·신산업 기업 유치를 위해 이주 지원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주변 하수처리장은 상부를 덮고 30만㎡ 규모의 멀티스포츠센터로 조성한다. 자원순환센터 또한 지하화된다. 굴포천엔 22만㎡ 크기의 수변공원이 마련된다.
교통망은 BRT(간선급행버스)를 중심으로 확충이 계획됐다. 5·9호선 김포공항역과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잇는 S(슈퍼)-BRT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청라BRT와도 연결된다. 부천종합운동장역엔 복합환승센터가 조성된다.
분양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내년 지구지정 뒤 2021년 지구계획 등을 짜고 2022년께부터 분양을 시작한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앞서 지난해 발표된 나머지 3기 신도시들의 경우 2021년부터 분양하는 게 정부 계획이다.
창릉지구와 대장지구를 마지막으로 3기 신도시의 윤곽은 모두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과천(155만㎡·7000가구)과 남양주 왕숙1·2(1134만㎡·6만6000가구), 인천 계양(335만㎡1만7000가구), 하남 교산(649만㎡·3만2000가구) 등 4곳을 3기 신도시로 지정한 바 있다. 중소 택지가 함께 발표됐지만 면적이 100만㎡ 이상인 택지만 신도시로 분류된다. 당초 6월말께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최근 강남을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대자 계획을 앞당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감정원이 지난 2일 발표한 아파트 매매가격 통계에서 서울 집값은 0.05% 하락했지만 강남구는 ‘9·13 대책’ 이후 처음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종로·광진·마포·구로·금천구 등 6개 구도 집값이 보합세를 보이는 등 상승 반전할 기미를 나타냈다.
당초엔 옛 광명시흥보금자리가 이번에 3기 신도시로 지정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이명박정부 시절 그린벨트를 풀어 지정한 보금자리지구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택지여서다. 하지만 지난해 발표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됐다. ◆중소 택지 26곳…안산에 1.2만 가구
정부는 이와 함께 중소 규모 택지 26곳에 5만8000가구를 더 공급하기로 했다. 지난해 발표된 1·2차 수도권 공급 확대 계획(19만 가구)과 이번 3기 신도시 추가 지정까지 합치면 모두 30만 가구다.
중규모 택지 가운데는 최근 입주가 몰려 집값과 전셋값이 크게 내리고 있는 안산이 포함됐다. 상록구 장상동과 장하·수암·부곡·양상동 일대 221만㎡ 땅에 장상지구를 조성해 1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올해 착공 예정인 신안산선(안산~여의도) 노선을 변경하고 역사를 신설한다는 계획이다. 광명서울고속도로 나들목(IC)도 새로 만든다.
이 밖에도 용인 구성역 일대 276만㎡ 땅에 1만1000가구와 안산 신길동 주변 75만㎡ 땅에 7000가구, 수원 당수동 일원 69만㎡에 5000가구를 공급한다. 군 유휴부지와 공공시설도 활용한다. 도심 노후 군 관사 등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들여 공공주택을 짓는다. 서울 대방동 일대 군부지와 관악구 군 관사 등 2200가구다. 노후된 저층 공공시설은 공공주택과 복합개발할 예정이다. 사당4동 주민센터와 망우동 공영주차장 등 1500가구가 계획됐다. 마곡 R&D센터와 성남 공영주차장 등 유휴부지도 활용된다.
서울 시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선 앞서 관련 제도가 개선된 바 있다. 상업지와 준주거지에 주거시설을 지을 경우 용적률을 각각 600%와 500%(종전 모두 400%)로 상향할 수 있도록 서울시조례가 지난 3월 개정됐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지난해 10월부터 대상이 기존 대중교통중심역에서 모든 역으로, 범위가 승강장 경계 250m에서 350m로 확대됐다. 사당역 복합환승센터(1200가구)와 창동역 복합환승센터(500가구) 등이 대상이다.
이들 택지는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사업승인을 거친 뒤 2020년부터 분양이 개시된다. 지난해 발표된 중소규모 택지들 또한 같은 시기부터 공급이 개시된다.
지난해부터 이날까지 총 30만 가구에 걸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한 정부는 필요에 따라 추가 공급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날 공급계획을 직접 발표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시장 안정세가 오랜 기간 동안 보다 확실하고 굳건하게 자리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언제든지 추가 주택 공급이 가능하도록 좋은 입지의 후보지도 상시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
7일 국토교통부는 고양 창릉지구와 부천 대장지구를 3기 신도시로 추가 지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창릉지구엔 3만8000가구, 대장지구엔 2만 가구가 공급된다. 이들 지역은 교통 여건이 좋은 데다 주변에 일자리가 많은 편이다. 정부는 지난해 3기 신도시 조성 계획을 발표하면서 교통망 등 서울 접근성과 지역 자족기능을 최우선 조건으로 꼽은 바 있다. 창릉지구와 대장지구는 모두 지리적으로 서울 서부권이 가깝다. 창릉지구는 고양 창릉동과 용두·화전동 일대 813만㎡(3만8000가구) 땅이다. 3기 신도시 예정지 6곳 가운데 왕숙1·2신도시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이 가운데 135만㎡를 자족용지로 구성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판교테크노밸리의 2.7배 규모다. 자족용지는 경의중앙선 전철역 인근으로 조성하고 스타트업 기업 지원 등을 위한 기업지원허브와 기업성장지원센터를 만들어 기업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중앙공원 등 총 330만㎡ 규모의 녹지도 만든다. 30사단 부지의 경우 서울숲의 두 배에 해당하는 도시숲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교통 대책도 나왔다. 6호선 새절역과 고양시청까지 14.5km 구간에 지하철을 신설한다. 가칭 ‘고양선’이다. 입주가 시작된 향동지구엔 역사가 4곳 들어선다. 이 밖에도 화정지구와 대곡역, 고양시청역 등 총 7개 역이 신설된다. 일산신도시 백석동부터 서울문산고속도로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 등 지상 교통망 여건도 개선한다는 게 정부의 밑그림이다. 2만 가구가 계획된 부천 대장지구는 343만㎡ 규모다. 지난해 발표된 인천 계양신도시와 연접하고 있다. 자족용지는 68만㎡로 계획됐다. 기업 입주는 계양테크노밸리와 연계될 전망이다. 부천시는 첨단·신산업 기업 유치를 위해 이주 지원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주변 하수처리장은 상부를 덮고 30만㎡ 규모의 멀티스포츠센터로 조성한다. 자원순환센터 또한 지하화된다. 굴포천엔 22만㎡ 크기의 수변공원이 마련된다.
교통망은 BRT(간선급행버스)를 중심으로 확충이 계획됐다. 5·9호선 김포공항역과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잇는 S(슈퍼)-BRT가 설치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청라BRT와도 연결된다. 부천종합운동장역엔 복합환승센터가 조성된다.
분양은 2022년부터 순차적으로 시작될 전망이다. 내년 지구지정 뒤 2021년 지구계획 등을 짜고 2022년께부터 분양을 시작한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앞서 지난해 발표된 나머지 3기 신도시들의 경우 2021년부터 분양하는 게 정부 계획이다.
창릉지구와 대장지구를 마지막으로 3기 신도시의 윤곽은 모두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과천(155만㎡·7000가구)과 남양주 왕숙1·2(1134만㎡·6만6000가구), 인천 계양(335만㎡1만7000가구), 하남 교산(649만㎡·3만2000가구) 등 4곳을 3기 신도시로 지정한 바 있다. 중소 택지가 함께 발표됐지만 면적이 100만㎡ 이상인 택지만 신도시로 분류된다. 당초 6월말께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최근 강남을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대자 계획을 앞당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감정원이 지난 2일 발표한 아파트 매매가격 통계에서 서울 집값은 0.05% 하락했지만 강남구는 ‘9·13 대책’ 이후 처음으로 보합세를 보였다. 종로·광진·마포·구로·금천구 등 6개 구도 집값이 보합세를 보이는 등 상승 반전할 기미를 나타냈다.
당초엔 옛 광명시흥보금자리가 이번에 3기 신도시로 지정될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이명박정부 시절 그린벨트를 풀어 지정한 보금자리지구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택지여서다. 하지만 지난해 발표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됐다. ◆중소 택지 26곳…안산에 1.2만 가구
정부는 이와 함께 중소 규모 택지 26곳에 5만8000가구를 더 공급하기로 했다. 지난해 발표된 1·2차 수도권 공급 확대 계획(19만 가구)과 이번 3기 신도시 추가 지정까지 합치면 모두 30만 가구다.
중규모 택지 가운데는 최근 입주가 몰려 집값과 전셋값이 크게 내리고 있는 안산이 포함됐다. 상록구 장상동과 장하·수암·부곡·양상동 일대 221만㎡ 땅에 장상지구를 조성해 1만3000가구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올해 착공 예정인 신안산선(안산~여의도) 노선을 변경하고 역사를 신설한다는 계획이다. 광명서울고속도로 나들목(IC)도 새로 만든다.
이 밖에도 용인 구성역 일대 276만㎡ 땅에 1만1000가구와 안산 신길동 주변 75만㎡ 땅에 7000가구, 수원 당수동 일원 69만㎡에 5000가구를 공급한다. 군 유휴부지와 공공시설도 활용한다. 도심 노후 군 관사 등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들여 공공주택을 짓는다. 서울 대방동 일대 군부지와 관악구 군 관사 등 2200가구다. 노후된 저층 공공시설은 공공주택과 복합개발할 예정이다. 사당4동 주민센터와 망우동 공영주차장 등 1500가구가 계획됐다. 마곡 R&D센터와 성남 공영주차장 등 유휴부지도 활용된다.
서울 시내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선 앞서 관련 제도가 개선된 바 있다. 상업지와 준주거지에 주거시설을 지을 경우 용적률을 각각 600%와 500%(종전 모두 400%)로 상향할 수 있도록 서울시조례가 지난 3월 개정됐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지난해 10월부터 대상이 기존 대중교통중심역에서 모든 역으로, 범위가 승강장 경계 250m에서 350m로 확대됐다. 사당역 복합환승센터(1200가구)와 창동역 복합환승센터(500가구) 등이 대상이다.
이들 택지는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사업승인을 거친 뒤 2020년부터 분양이 개시된다. 지난해 발표된 중소규모 택지들 또한 같은 시기부터 공급이 개시된다.
지난해부터 이날까지 총 30만 가구에 걸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한 정부는 필요에 따라 추가 공급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날 공급계획을 직접 발표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시장 안정세가 오랜 기간 동안 보다 확실하고 굳건하게 자리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언제든지 추가 주택 공급이 가능하도록 좋은 입지의 후보지도 상시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