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10곳 중 6곳은 4차 산업혁명이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단순 반복 업무가 많은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등의 업종에서 고용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지역경제 보고서’를 보면 전국 272개 제조업체 가운데 59.0%가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용이 늘어날 것이라고 본 업체는 15.4%에 그쳤다. 고용에 영향이 없을 것이란 곳은 25.6%에 머물렀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정제(71.4%), 자동차(68.4%), 철강(62.5%)에서 고용 감소를 전망한 응답률이 높았다. 정보기술(IT)산업에선 고용 증가 예상 업체가 46.2%로, 감소 전망 업체(19.2%)보다 많았다.

고용 감소를 예상한 업체 가운데 61.8%는 정규직·풀타임에서, 38.2%는 계약직·임시직·일용직에서 고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업체는 64.4%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50.4%가 ‘어느 정도 알고 있다’였으며 ‘잘 알고 있다’는 14.0%에 그쳤다. 4차 산업혁명을 ‘들어봤다’는 정도로 아는 업체는 33.8%, ‘전혀 모른다’는 1.8%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이 각 업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57.9%가 ‘중요하다’고 봤다. ‘중요하지 않다’는 28.4%, ‘잘 모르겠다’는 13.7% 순이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각 업체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판단했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들은 긍정적 영향으로 ‘생산성 향상’(26.1%), ‘생산비용 절감’(23.3%) 등을 들었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신규투자 관련 비용 증가’(39.0%),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20.2%) 등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업체 가운데 25.6%는 이미 대응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중요성 인식 업체 중 이미 대응하고 있거나 대응계획을 수립한 업체 비중은 자동차(52.6%), 석유화학·정제(50.0%), IT(42.3%)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철강(12.5%), 조선(33.3%), 기계장비(31.3%)에선 그 비중이 절반을 넘지 못해 대응이 뒤처진 것으로 파악됐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