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원 들고 와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겠다던 젊은 친구가 있었는데 지금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을 거예요.”(서울 상계동 W공인 대표)

갭투자자를 정조준한 ‘8·2 부동산 대책’의 약발이 나타나는 모양새다. 유동자금이 부족해 ‘버티기’를 할 수 없는 이들의 매도세가 가시화되고 있다.

전세가율이 높아 ‘갭투자의 성지’로 불린 상계동에선 규제 영향으로 갭투자자가 던지는 매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현지 G공인 관계자는 “발표 직후 상계주공 중형 아파트의 매수자를 찾아달라는 주문만 세 건이 들어왔다”며 “시세가 떨어지고 양도세 중과가 적용되기 전 처분하려는 수요”라고 말했다.

서울 외곽이지만 강남 4구 등과 함께 투기지역으로 묶인 노원구는 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가 많다. 일부 단지는 전세가율이 90%에 육박한다. 시세가 비교적 저평가됐다는 인식에 갭투자자가 몰리면서 최근 1년 동안 1만2000여 건의 손바뀜이 일어났다. 재건축이 활발히 진행된 강남구(7663건)와 강동구(8284건)보다 많은 수준이다.

다른 지역 중개업소들도 전화를 받느라 바쁘다. 서울 구로동 S공인 관계자는 “아직은 문의 정도의 관망세”라며 “휴가철이 끝나는 이달 중순부터 본격적인 움직임이 보일 듯하다”고 전망했다. 길음동에서도 “재미를 본 사람들은 이미 다 나갔고 상투를 잡은 개미만 남아 있다”는 말이 나온다.

실탄이 부족한 소액 갭투자자는 세입자의 전세계약 만기 시기가 고비다. 새로운 세입자가 나타나지 않거나 전셋값이 떨어지면 돌려줄 보증금이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갭투자가 단타 형태로 이뤄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들이 대출 등을 통해 자금을 융통하지 못하면 소송이나 경매를 거치게 되고 고스란히 세입자의 피해로 이어진다.

정부는 일단 퇴로를 마련해줬다.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 중과는 내년 4월부터 이뤄진다.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은 “봄 이사철까지 집을 팔 기회를 주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미 1주택자의 비과세 요건이 2년 거주 조건으로 강화된 데다 주택거래신고제가 재도입될 예정이어서 거래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여기에 8개월 뒤부터 3가구 이상 다주택 갭투자자는 양도차익의 최고 62%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일각에선 오히려 이번 규제로 갭투자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에서의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줄어들면서 전세 선호 현상이 심화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차이가 좁혀질 것이란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일단 신중한 투자 접근을 주문하고 있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집값이 오른다는 전제 아래서만 가능하다”며 “단기급등 지역은 조정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갭투자자는 양도세 중과 전에 매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갭투자는 매물 순환이 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거래절벽’이 우려되는 상황인데 수혜가 언급된다는 건 과대한 해석”이라고 말했다.

전형진 한경닷컴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