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주최 새로운 도시계획 모델개발 간담회서 전문가들 '압축도시' 주장
"공공청사 신시가지 이전 지양·광주 송정역 반경 500m내 생활거점화"

인구 저성장 시대를 맞아 지방 중소 도시기능을 집약화하고 도시 외곽 개발을 억제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국토연구원 구형수 박사는 전남도가 5일 개최한 '새로운 도시계획 모델개발 간담회' 특강에서 "우리나라 총 인구는 2030년 5천216만명을 정점으로 2060년 4천396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구 박사는 2040년에는 인구증가지역이 29.8%, 인구유지지역이 17.3%, 인구감소지역이 52.9%에 달하는 등 인구 저성장 시대를 맞이한다"며 "이같은 인구 감소 추세에 따라 지방 중소도시는 '압축도시'로 재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압축도시(compact city)는 도시 중심부에 초고층 빌딩을 밀집시켜 별도의 교통수단 없이도 주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시개발방식을 말한다.

미국 대도시나 홍콩 도심부가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구 박사는 "압축도시를 만들려면 도시기능을 집약화하고 도시 외곽 개발을 억제하는 한편 창조적인 유휴·방치 부동산을 활용해야 한다"며 "도시기능의 집약화를 위해서는 대중교통결절점(철도역·고속버서터미널·버스정류장 등)을 중심으로 TOD(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 전략을 수립하거나 도보권에 상업·행정·의료·주거 등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집약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4년 12.7%에서 2060년 40.1%로 늘 것"이라며 "이동성이 낮은 고령자는 의료·문화·상업시설에 인접한 지역을 주거지로 선택하게 되므로 도시기능 집약화가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 박사는 도시 외곽 개발 억제와 관련해 "사회적 증가분에 의한 계획인구의 과도한 추정을 지양하고 공공청사의 신시가지 이전은 인구 및 연관산업의 이전을 유발하고 도심 상권을 위축시킨다"며 "공공이 주도하는 시청, 구청, 법원 등의 공공청사를 신시가지로 이전하는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구 박사는 창조적인 유휴·방치 부동산 활용 방안과 관련해 "도심 빈집 등 유휴 방치 부동산에 대한 목록을 작성해 잠재력에 따라 적합한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많은 지방 중소도시가 획일적으로 다핵도시구조를 지향하는 실정에서 도시규모별로 적정한 도시구조를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연구원 조상필 박사는 "광주 송정역세권 개발때 압축도시 개발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며 "반경 500m내에 거주·상업·업무·문화 등 제기능을 집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박사는 "읍면소재지의 거점지구에는 가능한 필요시설을 집적시켜 도보로 활용하도록 해야 하고 주민센터, 도서관, 경로당 등 공공시설 중 이용이 적은 시설은 통폐합하고 주민이 원하는 기능에 맞게 용도 변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무안연합뉴스) 전승현 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