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드론산업은 ‘걸음마’ 단계다. 중국 DJI가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중소 드론업체가 속속 생기고 있지만 완구용 초소형 제품을 제작하는 바이로봇 정도를 제외하면 두드러진 곳이 없다. 활용 범위도 방송이나 재난구조용 등으로 한정돼 있다.

또 드론용 소프트웨어와 배터리, 모터, 카메라 등 핵심부품을 수입해 단순 조립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윤광준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국내 상업용 드론은 미국, 중국, 독일 등에 비해 3~7년 뒤처진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드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내다보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처음부터 군수용으로 쓸 생각만 했다는 것. 국내도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을 꾸준히 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12년 세계 두 번째로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무인기(틸트로터)를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가격이 비쌌고, 상품화에 대한 고민도 없었다. 홍세화 바이로봇 이사는 “시장이 원하는 것을 신속히 읽고, ‘경쟁력 있는 가격’에 양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규제도 드론산업의 발전을 막고 있다. 서울 도심 대부분이 비행 금지구역이다. 야간에는 날릴 수 없다.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범위에서만 조종해야 한다. 또 무게가 12㎏이 넘는 제품은 꼭 신고해야 한다. 신고를 해도 △사진촬영 △농약·비료 살포 △측량·탐사 △산림·공원 관측 용도로만 비행을 허용하고 있다. 전파법은 드론의 영상전송을 수신거리 30m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이현동 기자 gr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