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1차 후보지로 지방자치단체 10곳의 20개 부지가 선정됐다는 보도(본지 4월29일자 A1,20면)가 나간 뒤 관련 지자체 관계자들의 문의가 빗발쳤다. 문의 내용은 세종시가 정말 빠진 것인지,자신들의 지자체(시 · 군)가 정말 포함된 것인지 등 두 가지로 요약됐다. 보도내용에 대해 명확한 확인을 않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의 태도에 답답함을 호소하던 이들은 "기사에 나온 대로"라는 기자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의혹을 감추지 않았다. 교과부가 "(보도가) 사실이 아니다" 혹은 "세종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게 아니다"라고 궁색한 해명을 내놨기 때문이다.

당초 이명박 정부가 행정중심복합도시 대신 과학벨트 입지로 검토했던 세종시(연기군)는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대전시나 청원군(오송-오창 과학단지),천안시와 행정 구역이 엄연히 다르다. 단지 가깝다고 해서 "선정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보는 것은 무리다. 입지 선정과정을 공개하면 불필요한 논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게 교과부 주장이다. 지자체의 로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러나 선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괜한 오해를 사지 않는 방법이다. 국민적 관심이 쏠려 있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세종시의 입지 선정 탈락과 관련,정량적 평가결과를 공개하고 설득하면 될 일이다. 충청권 일부는 "MB 정부와 영원히 결별하겠다"는 표현까지 쓰며 흥분과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부 정치권은 1차 부지에 경남 · 북의 6곳이 포함된 점을 들어 "형님(이상득 의원) 벨트를 만들려는 속셈"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교과부는 이에 대해 "시 · 군별 정량평가에 관여한 전문가 집단과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한 전문가 집단을 분리해 객관적 신뢰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20개 부지에 대한 입지평가위원들의 정성평가,거점지구 인근 기능지구에 대한 정량 · 정성평가 등 여러 단계가 남아 있다. KAIST의 한 교수는 "국책사업 후보지 선정 과정은 으레 결과를 정한 상태에서 짜맞추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말이 과학벨트 선정과정에서는 적용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이해성 중기과학부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