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 과열을 경고하는 신호들이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금리 인상 등 감속 정책에도 아랑곳없이 올 1분기 경제성장률은 여전히 9.7%로 높고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5.0%로 치솟은 것이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문제다. 3월 물가는 식품값과 주거비 급등의 여파로 5.4%나 올랐다. 32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올해 8% 선의 성장률과 4%대의 물가상승률을 목표로 내건 중국 정부로서는 고민스러운 수치다.

중국이 물가안정을 위해 유동성 긴축의 고삐를 더 바짝 조일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당장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이란 관측이 무성하다. 중국 인민은행은 올 들어 이미 두 차례 기준금리를 올리고 시중은행들의 지급준비율도 세 번이나 높였지만 별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국제 원자재 · 농산물값 급등에 과다한 시중 유동성으로 인해 부동산값 상승세가 지방 중소도시로까지 번지는 추세다. 더욱이 중국은 수출 확대에서 내수시장 성장으로 경제운용 기조를 바꾸려 하고 있다. 그러려면 물가안정에 최우선 순위를 둘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원자바오 총리가 최근 "금리뿐만 아니라 환율을 포함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물가를 잡겠다"고 말한 것은 주목된다. 중국이 그동안 미국 유럽 등과 힘겨루기를 해가면서까지 기피해왔던 위안화 평가절상을 용인하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올해 달러화대비 위안화 절상폭이 5%를 넘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렇지만 위안화 강세가 우리에게 꼭 유리하다고 볼 수만은 없다. 특히 중국에 생산기지를 둔 기업들엔 생산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중국시장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