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12일 총파업을 강행했으나 현장 조합원들의 외면으로 파업 열기는 저조했고 산업피해도 크지 않았다. 민주노총은 전국적으로 15만명을 동원, 정부를 압박할 계획이었으나 정부의 강경 대응에다 국민의 비판여론 등으로 울산지역 대기업 등 핵심 사업장 노동자들의 참여 열기는 예상외로 낮았다. 노동부는 이날 서울 대전 등 전국 18개 지역에서 민주노총 산하 77개 사업장 4만4천여명이 2차 총파업에 참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민주노총 지도부가 당초 예상했던 1백20개 사업장 15만여명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규모다. 이처럼 파업 열기가 저조한 것은 총파업 명분이 약한 데다 과격시위 이후 비난여론이 거세지고 개별노조원 근로조건과 거리가 먼 정치투쟁 성격이 짙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최대 이슈인 손배소ㆍ가압류와 관련 없는 사업장 노조원들은 관심을 보이지 않아 파업 동력이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파업에는 현대자동차 2만5천3백여명, 국민건강보험공단 5천3백명, 만도 2천2백40명 등이 참가했다. 그러나 현대중공업 대우조선 두산중공업 쌍용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민주노총 핵심 사업장들은 파업을 외면한 채 정상조업을 벌였다. 또 철도 도시철도노조 등은 준법투쟁을 벌였으나 운행에는 별다른 차질을 빚지 않았다.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날 △공공부문 4백억원과 민간부문 1천억원 규모의 손배소ㆍ가압류 취하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 공개 및 차별 해소 대책 수립 △노동자 자살 사업장 등 장기 파업 사업장 현안 해결 등을 촉구했다. 또 지난 9일 노동자대회 때 무력으로 시위를 진압한 행위에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한편 권기홍 노동부 장관은 이날 오전 고건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에서 노동계가 요구하는 손배소ㆍ가압류 및 비정규직 철폐문제를 14일 열리는 노사정위원회에서 논의토록 하고 당장 가능한 제도개선안은 즉각 입법에 반영하겠다고 보고했다. 정부는 제도개선과는 별도로 화염병시위 주동자 등은 끝까지 추적, 처벌하기로 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ㆍ울산=하인식 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