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협상의 핵심인 노동자와 사용자의 신뢰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게 아닙니다. 일본은 지난 50년대부터 70년대 중반까지 대립적인 춘투경험을 통해 노사 모두가 불필요한 리스크를 줄이자는데 공감하면서부터 안정적인 노사관계가 정립됐습니다."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렌고)의 요지 다쓰이 국장은 "노동쟁의를 통해 임금을 올렸는데 기업경영이 어려워져 일자리가 줄어드는 기업을 많이 봤다"며 "노사 양측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신뢰가 쌓여야 노사관계가 안정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임금삭감이나 동결안을 노조가 받아들였던 것은 장기적으로 회사측이 고용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는 신뢰가 있기때문에 가능했다"고 덧붙였다. 이에따라 렌고도 지난 30여년동안 유지해온 대기업 중심의 임금인상 춘투전략을 포기하고 상대적으로 임금이 적은 중소기업의 임금인상과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에 운동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경기침체가 장기간 계속되면서 일본 근로자들은 이제 임금보다는 고용안정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어떤 기업에서든지 고용안정은 근로자들의 가장 중요한 이슈입니다. 철강산별노조가 지난 98년부터 2년에 한번씩만 임금협상을 하는 복수년 협정을 도입한 것도 고용안정을 위한 고육지책입니다. 앞으로 일본의 노사관계는 고용문제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