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이 정규직의 80%에이르지만 상여금, 퇴직금 등 부가급부 수준은 정규직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 안주엽 연구위원이 지난해 6월부터 10월말까지 1천433개 기업을대상으로 실시한 사업체 패널조사를 바탕으로 '기업의 비정규근로 활용'을 분석해 22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비정규직 근로자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사업체는 832곳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생산성은 동일한 일을 하는 정규직의 77.6%이며, 업종별로는제조업이 79.4%로 비제조업(75.8%)에 비해 높았다. 임금 수준은 정규직의 79.9%로 역시 제조업 82.2%, 비제조업 77.5%로 차이가 났다. 비정규직의 부가급부 수준은 시간외수당(56.6%), 상여금(31.7%), 퇴직금(44.1%),사회보험료(54.6%), 복리후생비(47.4%) 등으로 정규직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직접 노동비용인 임금 수준에서는 고용형태간 차이를많이 두지 않지만 간접적인 노동비용에서 차이를 많이 둠으로써 노동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비정규직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4.8%), 만족하는 편(63.1%), 중립(23.9%),만족하지 않는 편(5.3%), 매우 불만족(0.5%) 등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대답이 많았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고용한 주된 이유로 기업은 인건비 절감(32.1%), 고용조정용이(30.3%), 정규직이 꺼리는 업무나 단순한 업무 처리를 위해(18.5%), 단기적인업무(13.9%) 순으로 꼽았다. 또한 비정규직 활용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업무몰입도 부족(26.1%), 높은 이직률(23.8%), 기술 기능 부족(12.7%), 팀웍 및 업무연계 부족(10.2%) 등이라고 응답했다. 그동안의 비정규직 활용 경향은 비중 유지(26%), 비중 증가(13.6%), 채용 시작(12.5%), 비중 감소(6%) 순이었고, 향후 활용계획에 대해서는 현행 유지(31.6%), 확대(7.7%), 축소(6.7%), 신축대응(26.5%) 순이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