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의 '꽃'으로 불리는 애널리스트(기업분석가)들이 '울상'이다.


'UBS워버그증권 파문'을 계기로 애널리스트에 대한 규제가 대폭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담당종목은 물론 다른 종목에 대해서도 보유및 매매내역을 정기적으로 회사측에 보고해야 한다.


배우자의 거래내용도 포함된다.


투자의견을 대외적으로 얘기할 때도 내부 결재라인과 준법감시기구의 승인을 거쳐야만 한다.


오는 7월부터는 종목보고서를 낼 때 최근 1년간의 투자의견변경 내역까지 첨부해야 한다.


이 뿐이 아니다.


삼성증권 등 대부분 증권사는 애널리스트가 주고 받는 e메일에 대한 상시감시체제를 가동했다.


사전 정보유출 시비를 차단하기 위한 방편이다.


대신증권은 '연구활동 관리 규정및 윤리강령'을 신설,각 부서의 통화내역을 녹음,5년간 보관하기로 했다.


애널리스트가 언론에 증권사 공식의견과 다른 견해는 밝히지 못하도록 아예 '자물쇠'를 채웠다.


대투증권은 애널리스트가 보고서를 통해 특정종목에 대한 투자의견을 밝힐 경우 해당 종목에 대한 상품운용을 24시간 중단시켰다.


이렇다 보니 애널리스트들이 보고서 작성을 기피하거나 의견표현을 꺼리는 부작용이 생겨나고 있다.


실제 일부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들은 내부규정을 내세워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공연히 말썽을 피울 필요가 없다는 게 애널리스트그룹의 분위기다.


애널리스트의 투명한 기업분석과 자료공개는 공정한 게임을 위한 핵심 요소다.


과거 정보의 사전유출이나 실적 부풀리기 등 적지 않은 불공정 사례가 일어났던 게 사실이다.


이같은 잘못을 바로잡고 공정한 '게임의 룰'을 확립하는 일은 증시의 건전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잘못을 마치 애널리스트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곤란하다는 게 증권가의 시각이다.


소액주주를 무시하는 낙후된 경영행태나 펀드매니저의 투자철학 부재 등도 따져봐야 할 대목이다.


애널리스트가 말을 아끼면 정보가 제대로 유통되지 않아 그 피해가 개인투자자에게 돌아갈 수 있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을 다 태우는 우'를 범하지 않았으면 하는 게 투자자의 한결같은 바람이다.


이건호 증권부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