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수출은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기관들의 수출전망도 증가와 감소로 엇갈리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산업연구원(KIET) 등 관변연구소와 삼성경제연구소
현대경제연구원 등은 내년도 수출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내다본데 비해
대우경제연구소와 LG경제연구원은 수출이 올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증가를 점치든 감소를 점치든 총수출액은 1천3백억달러 안팎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늘어나든 줄어들든 그 폭이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는 얘기다.

경제연구기관들의 내년도 수출 전망이 엇갈리는 것은 세계 무역환경이
그만큼 불투명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출에 영향을 미칠 대외 변수가 많다는 얘기가 될 수도 있다.

가정 먼저 꼽을 수있는 변수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경기동향.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무역상대국인 미국은 지난 2.4분기부터 침체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미국은 최근 세차례나 금리를 인하하는등 강력한 경기 회복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효과를 어느정도 거둘수 있을지 미지수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일본 정부는 경기회복을 위해 대규모 적자재정정책을 펴고있으나 효과를
낙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한국개발연구원 유덕현 주임연구원은 "미국과 일본의 경기 진작책이 내년에
는 어느정도 효과를 보여 수출이 소폭이나마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우경제연구소의 한상춘 연구위원은 "미국과 일본의 경기부양책이
시행되더라도 전반적인 침체국면을 역행시킬수는 없을 것"이라며 "우리수출도
올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두번째는 무역규제의 강화.

한상춘 연구위원은 외환시장이 불안해진 뒤 강세통화 국가가 약세통화 국가
기업을 대상으로 반덤핑 공세를 펴는등 무역장벽을 높이는 추세여서 내년에는
세계 교역량 증가율이 둔화되고 그에따라 우리의 수출전망은 어둡다고 설명
했다.

세번째 변수는 일본 엔화다.

우리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엔화는 최근 한두달
동안 강세를 지속해왔다.

하지만 내년도에도 강세를 지속할 것인지 불확실하다.

물론 "2차 세계 대공황이 온다"의 저자인 인도인 미국 경제학자 라비 바트라
교수(서든 메서디스트대)처럼 엔화강세의 지속을 점치는 학자도 있다.

그는 아시아 동유럽 중남미에 이어 마지막으로 미국의 거품이 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달러화가 미국의 대규모 무역적자에도 불구하고 수십년째 강세를 보이는
것은 소위 "제국주의적 거품"이라면서 거품이 빠지면 달러화가 폭락하고
엔화가 더욱 강세를 나타낼 것이라는 주장이다.

바트라교수의 이같은 주장은 실제 달러약세-일본엔, 독일마르크 강세에
일조한 것으로 알려지고있다.

하지만 국내 연구기관 관계자들은 엔화는 일본 경제가 회복돼야 강세를
보일 것이라며 다른 견해를 보이고있다.

최근의 엔화 강세는 아시아 중남미 시장에서 손실을 본 투기자금이 일시적
으로 엔화를 매입한 때문이어서 일본 경제가 회복되지않으면 다시 약세로
돌아설 수밖에 없다는 것(대우경제연구소 한상춘 연구위원).

만일 일본경제가 회복되고 엔화가 강세를 보인다면 큰 호재로 작용할
것이지만 아직 기대하기 이르다는 설명이다.

바트라 교수의 주장대로 달러화가 폭락하고 일본 엔이 강세를 보일 가능성은
최근 미국 증권시장이 다시 강세를 보임에 따라 점차 희박해지는 분위기다.

네번째는 내년 1월로 예정된 유럽단일통화의 출범.

유럽단일통화의 출범은 역내 무역을 활성화시켜 우리나라의 수출물량이
늘어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럽지역에 대한 수출비중이 우리나라 전체수출의 10% 정도에
불과해 큰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금융시장의 경색등 국내 상황도 여의치않다.

특히 정부가 무역금융확대를 외치고있지만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을
맞춰야하는 금융기관들은 무역금융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국내외 상황을 감안하면 내년도 우리나라 수출은 전반적으로 올해와 비슷한
정도로 예측된다.

따라서 수출증대를 통한 IMF 조기탈출을 위해서는 무역금융을 활성화하는등
정부의 지원정책과 금융시장을 정상화하기위한 노력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박주병 기자 jbpark@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3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