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성취업자 4명중 1명은 무급 가족사업종사자로 외국에 비해 사무.
관리직등 전문직은 물론 임금근로자비중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여성들도 전문적인 기술과 능력을 확보해 평생 같은 직
업(생애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여성 학교교육및 직업훈련,파트타임근무
제, 근로자파견제,출산.육아휴직지원등에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
으로 지적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4일 "여성 고용문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이
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여성고용구조는 "전근대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국내여성의 전체 경제활동참가율은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이나 전문대학 이상.30세이상(고학력고연령)여성의 고용
률은 지난 86년 33.8%에서 92년에는 33.4%로 오히려 떨어졌다.

취업형태별로는 23.7%가 보수를 따로 받지 않고 집안사업을 돕는 무
급 가족종사자로 미국(0.4%) 스웨덴(0.6%) 일본(6.5%)등과 비교도 안되
게 높았다.

임금근로자 비중은 57.4%로 선진국(80~95%)에 비해 크게 낮은 실정이다.

직종별로는 관리전문직은 취업자의 9.6%,사무직은 15.4%에 불과하며
3명중 1명(33%)이 도소매.음식.숙박업등 서비스업 종사자였다.

연구원은 이에 따라 실업계 고교및 전문대학 4년제대학의 설립및 정원
을 자유화해 다양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한편
구인.구직등 직업알선 직업훈련등에 대해서도 정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
다고 주장했다.

또 <>파트타임을 활성화하기 위한 파트타임 뱅크설립 <>사회가 육아및
출산비용부담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박영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