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지 특약 독점 전재 ]]]

세계각국의 주식거래업자들이 전화통을 내려놓고 산타클로스를 위해 큰
양말이나 내걸어 놓아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지난주에 증시에서는 유쾌
하지 않은 일이 터졌다.

뉴욕증시의 다우존스공업평균주가지수가 102포인트나 급락하는 사태가
지난 18일 발생한 것이다.

하루낙폭으로는 최근 4년중 최대였다.

뉴욕채권시장에서는 채권값도 크게 떨어졌다.

비록 다음날 주가와 채권값이 회복되긴 했지만 이날의 주가폭락은
투자자들에게 "96년의 증시파탄을 경고하는 메시지"로 받아들여졌다.

이날 주가가 큰폭의 하락조정을 겪게된 까닭이 무엇인지를 한마디로 설명
하기는 어렵다.

주식시장은 이에앞서 미균형예산문제가 신속하게 해결되기를 기대해 왔다.

이와함께 예산문제가 풀리면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금리를 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행정부와 의회간의 대립이 지속되자 금리인하전망이 불투명
해지면서 주가가 떨어졌다는 것이 18일의 주가급락에 대한 설명이다.

FRB는 주가급락 다음날인 19일 연방기금금리를 5.5%로 0.25%포인트 인하,
증시에 크리스마스기분을 어느정도 살려주었다.

그렇지만 일부 경제학자들은 통화정책이 아직도 너무 타이트하다고 주장
한다.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실질 연방기금금리는 약 3%로 지난 수십년간 유지
돼온 실질평균금리인 2%를 상회하고 있다는게 그들 주장의 배경이다.

FRB의 금리인하조치는 채권가격도 회복시켰다.

지난 3년간 미채권시세는 등락을 거듭했다.

지난 93년에는 채권값이 폭등, 30년만기 국채경우 가격과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수익률이 7.5%에서 5.8%로 떨어졌다.

94년에는 FRB의 잇따른 금리인상으로 수익률이 급등, 한때 8%를 넘어섰다.

그러다가 최근들어 다시 채권값이 뛰면서 수익률이 6% 근처까지 내려와
있다.

일본과 독일에서도 채권수익률은 올들어 2%포인트가량 하락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제기되고 있는 의문은 앞으로 미일독의 채권수익률이
어느쪽으로 움직일 것인가이다.

지난 60년대이후 경험하지 못했던 수준으로까지 계속 떨어질지, 아니면
느닷없이 오름세를 타게 될지에 관심이 집중돼 있다.

이에 대한 답은 두가지 상황에 달려있다.

최근 미국과 유럽이 금리인하를 단행하도록 유도한 저성장및 낮은 인플레
예상이 실제로 현실로 나타날 것인가와 선진국들이 재정적자감축약속을
과연 지킬수 있을 것인가가 그것이다.

최근의 채권가격 오름세는 선진국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는 것에 대한
반증이다.

선진7개국(G7)경제는 올 하반기에 평균 2%의 성장률을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의 3.5%에 비해 상당히 낮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독일과 프랑스를 필두로 한 유럽대륙은 경기침체문턱에
도달해 있다고 우려하고 있을 정도다.

성장률둔화에 편승, 인플레도 당초 예상을 훨씬 밑돌아 선진국 중앙은행들
이 앞으로 금리를 더 내리게 될것이라는 기대감도 높다.

경제학자들은 내년중반쯤 연방기금금리가 4.5%로 인하될 것으로 예상한다.

금융시장은 미행정부와 의회가 결국에는 균형예산안에 합의, 미재정적자를
크게 줄이게 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프랑스등 유럽국가들도 마스트리히트조약에 명시된 유럽경제통화통합기준에
맞추려는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재정적자를 대폭 감축할수 있을 것으로 전망
한다.

미국과 유럽의 재정적자감축정책이 실현되면 신규 국채공급이 대폭
줄어들게 돼 채권가격은 오르게 될 것이다.

일본을 제외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들은 지난 3년간 재정적자를
국내총생산(GDP)의 1.8%만큼이나 줄였다.

지금의 세계경기회복세가 예전만 못한 것은 바로 이같은 재정긴축정책
때문이다.

앞으로 실질 채권수익률은 90년대들어 실시되고 있는 보다 나은 재정및
통화정책 덕택에 지난 80년대의 수익률밑으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

지난 80년대 미실질수익률은 연평균 5%였다.

지금은 3.5% 주변에서 움직이고 있다.

지난 50년대와 60년대의 실질수익률은 2%에 불과했고 명목수익률은 4%에
불과했었다.

선진국중앙은행들은 90년대들어 인플레억제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내년에는 인플레를 더욱 낮출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와 마찬가지로 재정적자도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다수의 미국채투자자들이 FRB의 금리추가인하를 당연시하고 있는 가운데
미모건스탠리은행의 스테펀 로시 수석경제학자같은 일부 전문가는 정반대의
전망을 내리고 있다.

미국경제가 유럽경제에 비해 건실하기 때문에 FRB가 금리를 더 내릴
가능성이 없다는 전제하에 인플레고조우려로 미채권값이 떨어지면서 수익률
이 내년에 7%로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렇지만 유럽에서는 경기부양을 위한 금리인하정책이 좀더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내년에 유럽채권시장은 적어도 미국시장보다는 나을 것으로 기대
된다.

다만 최근 프랑스시장에서 나타난 것처럼 여러가지 정치경제문제로 유럽
채권시장도 내년에 다소의 혼란을 겪을 수는 있을 것이다.

< 정리=이정훈기자 >

"A bumpy ride for the wolds financial markets"
Jan.5,1996.c The Economist,Lon-don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