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포럼] 대학은 어떻게 가치를 창조하는가
최근 대학에서 창업을 외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대학을 창업기지로 만들겠다고도 한다.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박근혜표 창조경제식 대학 개혁은 공과대학 혁신을 중심으로, 산업현장에 더 가깝고 창업하는 대학을 주문했다. 산업계 출신 교수를 영입하고 기존 교수와 학생들을 산업현장에 파견하는 프로그램을 정부가 지원한다. 심지어 공과대학 교수들은 돈이 안 되는 논문은 적당히 쓰고 기업에 직접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거나 상업화가 가능한 특허기술을 개발하고 창업을 하라고 한다.

국내 최고 공과대학인 KAIST와 포스텍이 가치 창출 대학을 표방하고 나섰는데, 그 내용이 위와 유사하다. 연구하는 대학에서 기술 개발과 창업을 통한 직접적인 경제 가치 창출을 대학의 제1 목표로 내세우고 있다. 대학의 교육과 연구가 산업현장과 괴리되고 산업체에서 필요한 기술과 인력을 적시에 공급하지 못한다는 해묵은 비판이 이런 움직임의 바탕이다. 그러나 이런 정부 정책과 이에 발맞춘 대학의 움직임은 대학이 가치를 창조하는 본질을 잘못 보고 있는 데서 비롯된다.

대학의 본래 기능은 교육을 통한 인재 배출과 연구를 통한 새로운 지식, 기술의 생산이다. 대학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면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거나,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개혁 처방은 결국 어떻게 더 수준 높은 인재를 양성할 것인지, 또 어떻게 수준 높은 연구를 할 것인지에 초점을 맞춰야 하지 않겠는가.

대학의 창업이라는 것은 결국 대학이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좋은 기술과 지식을 생산했을 때 이를 활용하는 결과로서의 이차적인 산물 아닌가. 너무나 기본적이고 당연한 얘기인데, 상식이 잘 통하지 않는 사회가 우리 사회다. 대학이 수준 높은 지식과 기술을 연구로 만들어내지 못하는 것이 현 상황인데, 갑자기 창업을 주문하고 나선 것이다. 대학이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하지 않고 무슨 성과를 가지고 창업을 한다는 말인가.

대학이 산업체에 필요한 인재와 연구 성과를 제대로 생산하지 못한다고 당장 산업체 출신자를 교수로 영입하라고 하는 것은 얼마나 타당성이 있는 얘기인지 모르겠다. 기업에 당장 필요한 기술은 기업 연구소가 해결하고 중장기적인 문제와 미래기술을 대학이 연구하는 것이 원래부터 나눠 갖고 있는 역할 분담이다. 대학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해주느라 바쁘게 뛰어다녀야 하고, 창업을 해 벤처기업을 만들어내라고 하면 미래의 기술, 새로운 산업의 기반이 될 기술은 누가 만들라는 것인가.

대학은 교육하고 연구하는 곳이다. 포스텍, KAIST 같은 연구중심대학은 특히 높은 수준의 연구를 해야 하는 곳이다. 이런 연구중심대학의 퍼포먼스에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연구력과 연구 수준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에 못 미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국의 주요 대학에 추월당한 것 또한 사실이다. 미국, 중국의 주요 연구중심대학은 세계 각국 유망한 연구자들을 고액 연봉으로 영입하고 10억~20억원의 초기 정착 자금을 공급해 빠른 속도로 세계적인 연구실을 만들도록 한다. 한국의 연구중심대학은 보잘것없는 초기 정착금을 신임 교수에게 지급해 실험실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이 든다. 미국과 중국 교수와의 연구 경쟁에서 빠르게 뒤처지고 있다는 것은 대학교수라면 누구나 다 알 것이다.

국내 대학에서 미국과 중국의 선도대학이 가지고 있는 연구중심 드라이브를 위한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곳은 보이지 않는다. 연구력이 부족한 국내 연구중심대학에 필요한 것은 연구력을 높이는 노력이지 창업을 위한 노력이 아니다. 대학에서 높은 수준의 창의적인 연구가 가능해져야 창조경제든 4차 산업혁명이든 가능할 것이다.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 세계 10위권 연구중심대학 없이 유지되지는 않을 것이다.

염한웅 < 포스텍 교수·물리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