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압박이 내년 아시아 경제의 최대 위협 요인이 될 것이다.”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의 잇따른 양적완화 정책으로 투자자금이 아시아 국가로 급속히 몰려오면서 물가상승을 유발할 우려가 높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지적했다. WSJ는 영국 금융회사 스탠다드차타드(SC)의 보고서를 인용해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공격적으로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하면서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인도네시아 홍콩 싱가포르 태국 등으로 선진국 자금이 밀려들고 있다”며 “이로 인해 이들 국가의 증시, 통화, 부동산이 모두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선진국 자금 아시아로 몰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달 13일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매달 400억달러를 시중에 풀겠다는 3차 양적완화를 발표한 뒤 9월 한 달 동안 한국과 인도네시아 자본시장으로 자금이 대거 유입됐다.

한국의 경우 지난 8월에 24억달러의 자금이 빠져나갔지만 지난달에는 14억달러 순유입으로 돌아섰다. 인도네시아 채권시장으로 들어온 자금은 9월 중 13억달러를 기록해 전월의 5억4000만달러에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보고서는 “중국 경제지표가 안정되고 위안화 가치도 상승하면 아시아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은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진국의 양적완화는 특히 경제 규모가 작고 개방된 국가에서 자산가격 급등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태국 증시는 올 들어 지난달까지 28%가량 상승했고, 같은 기간 필리핀 증시도 24% 올랐다. 홍콩 항셍지수도 24% 뛰어 22일 기준으로 14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도 증시도 23% 정도 상승했다.

아시아의 금융 중심국인 싱가포르와 홍콩은 통화 가치와 부동산 가격도 오르는 추세다. 홍콩의 부동산 가격은 최근 4년 동안 2배로 뛰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지난 3분기 싱가포르 주택 가격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56%나 올랐다. 미국 달러 대비 싱가포르 달러 가치는 올 들어 약 6% 상승했다. 홍콩 달러 가치도 급등하면서 홍콩 정부는 지난 19일 3년 만에 처음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했다.

신용평가회사 피치의 앤드루 콜키혼 아시아·태평양 등급 책임자는 “싱가포르와 홍콩이 상대적으로 경제 규모가 작아 미국의 3차 양적완화 충격을 크게 받고 있다”며 “자산가치 상승과 인플레 압박에 유난히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달아오르는 아시아 채권시장

아시아 채권시장도 달아오르고 있다. 통계전문기관 딜로직 집계에 따르면 올 들어 아시아 지역에서는 1580억달러어치의 채권이 발행됐다. 이는 작년 한 해 발행된 1127억달러를 넘는 것이다.

아시아 각국은 자산가격 거품을 막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존 창 홍콩 재무장관은 지난 21일 “최근의 부동산 가격 상승은 경기가 둔화되는 것에 비춰보면 이례적”이라며 “부동산 가격 억제 정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태국 중앙은행은 자국 내 상장법인과 개인의 해외투자, 외화표시채권 투자 규제를 완화해 자본의 해외 유출을 촉진시키기로 했다. 싱가포르도 최근 몇 주 동안 주택담보대출을 옥죄고 있다.

프레데릭 뉴먼 HSBC 아시아 경제분석 담당 공동대표는 “자금 유입으로 인한 인플레가 내년에 아시아 경제에 대한 최대 위협이 될 것”이라며 “특히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가 인플레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