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고 싶어합니다. 자산관리의 궁극적 목적도 부자가 되기 위해서입니다. 자산이 얼마 정도 있으면 부자로 볼 수 있을까요. 최근 통계청이 내놓은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순자산(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 기준으로 26억원이면 상위 1%, 73억원이면 상위 0.1%안에 들어가는 수준입니다. 통계적으로는 상위 1% 안에 들면 부자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각자의 상황이나 가치관에 따라서 부자의 기준이 좀 달라지기도 합...
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고 싶어합니다. 자산관리를 하는 사람들의 궁극적인 목적도 부자가 되기 위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자산이 얼마 정도 있으면 부자로 볼 수 있을까요? 최근 가계금융복지조사(통계청)에 따르면 순자산(총자산-부채) 기준으로 26억원이면 상위 1%, 73억원이면 상위 0.1%안에 들어가는 수준입니다. 통계적으로는 상위 1% 안에 들면 부자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각자의 상황이나 가치관에 따라서 부자의 기준이 좀...
'401K 백만장자(Millionaire)'란 말을 들어 보셨습니까? 401K는 우리나라의 개인형퇴직연금(IRP)와 비슷한 미국의 퇴직연금계좌인데, 미국에서는 이 401K에 꾸준히 적립하고 투자해 100만달러(약 11억원) 이상의 퇴직연금을 가지고 은퇴하는 근로자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근로자들도 퇴직연금을 통해 은퇴 후 부자로 살아갈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단순하게 매년 1200만원...
미국 다우존스 지수는 1982년까지 20여년간 지루한 박스권 장세에 머무르다가 이후 10년간 4000포인트까지 급상승했습니다. 다시 5년동안 6000포인트가 오르면서 1만 포인트를 넘어서게 됩니다. 당시 미국증시 상승을 이끈 원동력 중 하나로 미국의 대표적 퇴직연금제도인 '401K'를 꼽습니다. 1983년 '401K'가 도입되면서 근로자들의 노후자금이 증시에 안정적인 공급원이 됐고, 기업들의 성장과 맞물리면서 미국...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이 부러워할 만큼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2010년 국내총생산(GDP) 1조1439억달러, 세계 15위 였던 우리나라는 10년이 지난 2020년 어떻게 됐을까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라는 위기상황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선방하면서 GDP 1조5868억달러를 기록해 세계 톱 10 진입이 예상됩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도 2010년 2만3118달러, 세계 34위에서 2020년 3만1755달...
치킨과 맥주, 소주와 삼겹살, 막걸리와 파전처럼 잘 어울린다고 모두 인정하는 음식 조합들이 있습니다. 금융상품과 절세측면에서도 이에 비견할만한 조합이 있는데, 바로 연금저축계좌와 해외투자입니다. 연금저축계좌는 절세와 노후준비 목적으로 익숙한 금융상품입니다. 특히 연금저축펀드계좌는 한 계좌 안에서 다양한 유형의 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동안 노후준비는 안정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원금보장되는 연금보험이나 연금신탁상품 중심으로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