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우산지목(牛山之木)-인간의 선한 본성은 어디로 갔을까

    세월이 참 무섭다. 가슴 아린 아픔도 세월로 무뎌지고, 가슴 그득한 추억도 세월로 흐려진다. 그러다 어느새 까마득해진다. 뭔가를 잃는 순간은 안타깝지만 그 또한 세월이 흐르면 그게 원래 내것인지조차 아리송하다. 인간은 그렇게 뭔가를 잃어가며, 또 잊어가며 산다. 맹자는 본래 인간의 심성이 선하다고 믿었다.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인의예지의 단초다. 인간은 사단(四端)을 품고 있기에...

  • 옥석혼효(玉石混淆)-만물은 옥과 돌이 섞여 있다

    뒤섞이면 고르기 어렵다. 선악이 뒤섞이면 둘의 구별이 쉽지 않고, 대소(大小)가 뒤섞이면 덩치의 기준이 모호하다. 털자고 하면 먼지 안 나는 사람 없고, 덮자고 하면 곱지 않은 사람이 없다. 만물은 옥과 돌이 섞여 있다. 한데 옥과 돌이란 게 때론 경계가 애매하다. 나에게 옥이 되는 게 누군가에겐 돌, 심지어 티가 된다. 그러니 세상을 당신의 잣대로 함부로 재단하지 마라. 동진(東晉) 시대 갈홍은 도가 계열의 사상가다. 그의 ≪포박자≫는 도교가 하나의 사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저술이다. 그는 이 책 ‘상박편’에서 배움의 도(道)를 이렇게 적고 있다. “≪시경≫이나 ≪서경≫이 도의(道義)의 큰 바다라면, 제자백가의 글은 이것을 보충하는 냇물이다. 방법이 다를지언정 덕을 닦는 데 무슨 다름이 있겠는가. 옛사람들은 재능 얻는 게 어렵다고 탄식했지만, 곤륜산 옥이 아니라고 야광주를 버리거나 성인의 글이 아니라고 수양에 도움 되는 말을 버리지 않았다. 한나라와 위나라 이후로도 ‘본받을 만한 좋은 말(嘉言)’이 많이 나왔지만, 식견이 좁은 사람들은 자구(字句)에만 매달려 오묘한 이치를 가벼이 한다.” 갈홍은 큰 것에만 매달려 정작 작은 것에 담긴 뜻을 소홀히 하는 세태를 나무란다. ≪시경≫이나 제자백가들의 가르침이 근본은 크게 다르지 않은데도 세속의 크기에만 매달리는 어리석음을 꾸짖는다. 이어지는 말도 함의가 같다. “뿐만 아니다. ‘작은 길(小道)’이라 일고의 가치도 없다 하고, 너무 넓고 깊어서 머리를 혼란시킨다고도 한다. 티끌이 쌓여 태산이 되고 색들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무지개를 이룬다는 걸 모른다. 천박한 시부(詩賦)를 감상하고, 뜻이 깊

  • 어부지리(漁父之利)-이익은 서로가 노린다

    작은 이익을 좇다 큰 이익을 놓친다. 그게 인간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정의했다. 하지만 인간은 이성보다 이익에 더 자극받는다. 이익에 울고 우는 게 인간이다. 인간은 큰 이익을 등에 지고 남의 작은 이익을 노려본다. 누군가 뒤에서 그 큰 이익을 채가려는 걸 모르는 채 말이다. 전국시대 조나라 혜문왕이 연나라를 치려 했다. 제나라에 많은 군대를 파병한 연나라에 기근이 들자 혜문왕은 이 때가 절호의 기회다 싶었다. 때마침...

  • 삼고초려(三顧草廬)-진심으로 진심을 움직여라

    힘으로 부리는 건 하급이다. 힘이 두려워 모인 무리는 힘이 빠지면 바로 흩어진다. 명예로 부리는 건 중급이다. 명예에 흠집이 생기면 무리는 서로 눈치를 본다. 떠날까 말까. 마음으로 부리는 건 상급이다. 마음으로 따르는 자는 힘이나 명예를 곁눈질하지 않는다. 힘이 빠져도, 명예에 흠집이 생겨도 그 마음 그대로 따른다. 위·촉·오 삼국시대의 문턱 무렵, 유비는 자신의 뜻을 펼치기 위해 인재를 모으고 있었다. 그 중 한 명이 서서(徐庶)다. 비범...

  • 형설지공(螢雪之功)-재능은 노력을 이기지 못한다

    노력의 가치는 어디서나 빛난다. 빛나는 것은 모두 그 안에 수고로움을 품고 있다. 씨앗이 영글어야 열매가 튼실하다. 세월을 익혀야 쭉정이가 되지 않는다. 진짜 농부는 한여름 햇볕이 뜨겁다고 그늘을 찾지 않고, 초가을 태풍이 거세다고 논밭을 떠나지 않는다. 곡식은 농부의 그런 정성으로 하루하루 익어간다. 쉽게 오는 건 쉽게 간다. 거저 얻은 건 십중팔구 스스르 사라진다. 동진(東晉·317~419)은 중국 역사상 문화가 가장 화려하게 꽃핀 나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