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의 가치는 어디서나 빛난다. 빛나는 것은 모두 그 안에 수고로움을 품고 있다. 씨앗이 영글어야 열매가 튼실하다. 세월을 익혀야 쭉정이가 되지 않는다. 진짜 농부는 한여름 햇볕이 뜨겁다고 그늘을 찾지 않고, 초가을 태풍이 거세다고 논밭을 떠나지 않는다. 곡식은 농부의 그런 정성으로 하루하루 익어간다. 쉽게 오는 건 쉽게 간다. 거저 얻은 건 십중팔구 스스르 사라진다.

동진(東晉·317~419)은 중국 역사상 문화가 가장 화려하게 꽃핀 나라다. 무릉도원을 시로 노래한 도연명, 중국 회화사에서 인물화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고개지, 서예를 예술로 승화한 왕희지는 모두 동진 출신이다. 조선에서도 1500년을 앞뒤로 채 백년도 안 되는 시기에 서경덕, 이황, 이이, 기대승 등 내로라하는 사상가들이 활약했다. 그리 보면 시대가 인물을 낳는다는 말이 맞다.
동진에 차윤(車胤)이라는 선비가 있었다. 어려서부터 책을 좋아했지만 집안이 가난해 불에 쓸 기름조차 구하지 못했다. 그래서 차윤은 여름이 되면 수십 마리의 반딧불이(螢)를 주머니에 잡아넣어 그 빛으로 밤 새워 책을 읽어 마침내 이부상서(조선시대 이조판서 격)가 되었다.

같은 시대에 손강(孫康) 역시 성품이 곧고 어려서부터 배움에 큰 뜻을 두었지만 집이 가난해 기름을 살 돈이 없었다. 그는 겨울밤이면 하얀 눈(雪)에 글을 비추어 책을 읽었고, 뒤에 벼슬이 대사헌까지 올랐다. 한자를 즐겨 쓰는 사람들이 흔히 책상을 설안(雪案)이라 하는 것은 손강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두 얘기 모두 《진서》에 전해온다. 형설지공(螢雪之功)이나 형창설안(螢窓雪案)은 어려운 처지에서도 뜻을 꺾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다. 형창설안은 ‘반딧불 창에 눈 책상’이란 뜻이다. 형설지공을 형설(螢雪)로 줄여쓰기도 쓴다.

인간은 위대함 자체보다 거기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에 더 감동한다. 땀의 가치를 아는 까닭이다. 재능은 노력을 이기지 못한다. 세상에는 재능으로 성공한 사람보다 노력으로 성공한 사람이 훨씬 많다. ‘천재’라는 이름을 달고 시작한 자 중에 끝까지 그 이름을 단 자는 많지 않다.  노력이 빠진 재능은 대부분 공염불이다. 남을 탓하고, 사회를 탓할 순 있다. 한데 남탓 이전에 자신이 쏟은 노력의 덩치를 재봐야 한다. 그게 순서다.

신동열 한경닷컴 칼럼니스트/작가/시인
[바람난 고사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재능은 노력을 이기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