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품질평가결과…다중시설 40%서 '먹통', LTE는 속도저하
5G 속도는 SKT, 커버리지는 LGU+, 다중시설은 KT 각각 1위
5G 빨라지고 넓어졌지만…실내신호는 여전히 '약함'(종합)
5G 서비스가 상용화 1년 반이 넘으면서 서비스 커버리지와 품질이 개선되고 있지만, 고질적인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기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조사 결과 전국 다중이용시설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은 약 60%에 그친 와중에 LTE 속도마저 뒷걸음질했다.

5G 통신 속도는 SK텔레콤이, 서비스 커버리지는 LG유플러스가, 다중이용시설 망구축은 KT가 가장 뛰어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5G를 포함한 품질평가는 올해 8월 발표된 상반기 조사에 이어 이번이 2번째로, 조사 대상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에서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으로 확대됐다.

5G 빨라지고 넓어졌지만…실내신호는 여전히 '약함'(종합)
◇ 5G 제공 다중시설 사별 3천500개…비수도권 지하철 역사 5G 구축완료
3사 평균 옥외 서비스 커버리지는 서울이 약 478.17㎢, 6대 광역시가 약 1천417.97㎢로, 임야를 제외한 주요 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5G를 이용할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78개 중소도시는 약 3천513.16㎢로, 도심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확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85개시 커버리지 면적은 통신사별로 ▲ LGU+ 6천64.28㎢ ▲ SKT 5천242.68㎢ ▲ KT 4천920.97㎢였다.

이는 통신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맵을 토대로 한 것으로, 점검 결과 과대 표시는 없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85개 시 4천516곳 중 5G 이용 가능한 시설은 2천792개로 전체의 61.8%였다.

이들 시설에서 5G를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면적 비율은 90.99%로 상반기 67.93%보다 높아졌다.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기타 시설을 포함해 5G 이용 가능한 시설은 3사 평균 3천486개로, 사별로는 ▲ KT 4천571개 ▲ SKT 3천814개 ▲ LGU+ 2천72개였다.

지하철 중 지하역사는 424곳에서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 상반기 313개보다 35.5% 늘어났다.

수도권 지하철은 전체 458개 중 50.9%인 3사 평균 233개에 5G 구축이 완료됐고, 비수도권 지하철은 모두 구축이 완료됐다.

5G 빨라지고 넓어졌지만…실내신호는 여전히 '약함'(종합)
◇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 690Mbps… '투자 후순위' LTE 속도 하락
3사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상반기(656.56Mbps) 대비 33.91Mbps 향상된 690.47Mbps였고, 평균 업로드 속도는 63.32Mbps였다.

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 SKT 795.57Mbps ▲ KT 667.48Mbps ▲ LGU+ 608.49Mbps였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다운로드 시 평균 5.49%, 업로드 시 평균 5.29%로 상반기보다 개선됐다.

다운로드 기준 사별 전환율은 ▲ SKT 3.95% ▲ LGU+ 4.29% ▲ KT 8.22% 순이다.

대도시의 다운로드 속도는 730.84Mbps로 중소도시 665.42Mbps보다 65.42Mbps 빨랐다.

권역별로는 인천이 758.74Mbps로 가장 빨랐고, 전라북도는 583.08Mbps로 가장 느렸다.

서울은 747.44Mbps였다.

한편 LTE 서비스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 153.10Mbps(전년 158.53Mbps 대비 5.43Mbps↓) 평균 업로드 속도 39.31Mbps(전년 42.83Mbps 대비 3.52Mbps↓)로 서비스 이후 처음으로 속도가 하락했다.

5G 빨라지고 넓어졌지만…실내신호는 여전히 '약함'(종합)
홍진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농어촌 유지보수 문제, 도심지역 5G 서비스의 LTE 자원 활용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여전히 5천만 이용자가 쓰는 서비스인 만큼 통신사들이 품질관리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품질평가 결과는 내년 초 스마트 초이스(www.smartchoice.or.kr)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 게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