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투자자,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두고 시각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기업간담회
기업 "스코프3 공시 현실성 낮아…유예 필요"
투자자 "스코프3 정보는 기업 리스크 파악에 필수적"
기업 "스코프3 공시 현실성 낮아…유예 필요"
투자자 "스코프3 정보는 기업 리스크 파악에 필수적"
2026년 이후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부터 순차적 도입이 예정된 지속가능성 공시(ESG 공시)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를 두고 기업과 기관투자가간 의견이 갈리는 모양새다. 기업들은 '스코프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의무화를 유예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기한 반면 기관투자가들은 스코프3 공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스코프3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범위 중 가장 넓은 기준이다. 기업의 제품 생산 과정을 비롯해 제품 사용·폐기 단계, 협력업체와 유통망 등을 아울러 온실가스 직간접 배출량을 추산한다.
국내 ESG 공시 기준안을 마련하고 있는 KSSB는 지난 4월 공시제도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금융위는 지난 5월부터 지난달까지 4개월간 기업,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투자자로는 국민연금공단을 비롯한 29개 국내투자자, 세계 최대 연기금인 노르웨이 국부펀드(NBIM) 등 17개 해외투자자가 ESG 공시 초안 관련 의견을 밝혔다. 산업계에선 개별기업 111곳과 10개 경제·산업단체가 의견을 냈다.
기업들 대부분은 ESG 공시를 다른 사항보다도 기후 관련 사항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06개 기업 중 96곳이 기후관련 사항을 먼저 의무공시하는 것에 동의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앞서 KSSB가 밝힌 기준 초안 방침과도 같다. KSSB는 각종 ESG 사안 중 'E(Environment·환경)'에 해당하는 기후 관련 내용부터 ESG 공시를 시작한다는 입장이다. 기후 관련 사안은 다른 ESG 주제보다 정량화가 보다 용이하고, 글로벌 자본시장에서도 주요 사안으로 보고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기업들은 스코프3에 대해선 세계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없고, 주요국 중 해당 공시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있다는 점도 유예 필요성 근거로 들었다.
반면 투자자들은 스코프3도 공시 대상에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보를 측정하기 어렵다고 해도 투자자로서는 기업이 직면한 리스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라는 게 근거다. 투자자들은 기후 외에 다른 지속가능성 사항에 대해서도 공시 제도화와 관련한 일정 등을 알려야한다고도 주장했다.
장애인 고용현황을 비롯한 정책목적 공시에 대해서도 "유용성은 동의하나 공시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부 기업들은 불확실성 해소 차원에서 공시 기준이 빨리결정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이 충분히 준비할 수 있게 자율공시부터 시작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ESG 공시제도는 기업들이 기후 변화 와중에도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을 지원하는 첫걸음"이라며 "제도가 도입되면 녹색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등 자금공급을 확대하고, 관련 분야에 투자를 활성화하는 금융지원을 보다 원활하게 집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기후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요소가 경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ESG 관련 시장 형성과 제도화 움직임이 꾸준히 일고 있고, 주요국에선 ESG 생태계의 기초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공시제도를 추진하고 있다"며 "기업의 의견이 원활한 제도 안착을 위해 중요한 만큼 의견을 심도있게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스코프3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범위 중 가장 넓은 기준이다. 기업의 제품 생산 과정을 비롯해 제품 사용·폐기 단계, 협력업체와 유통망 등을 아울러 온실가스 직간접 배출량을 추산한다.
기업들 91% "여러 ESG 사안 중에선 기후부터 공시 시작해야"
19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서울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기업 간담회'를 열고 국내 ESG 공시기준 공개초안에 대한 주요 의견 수렴 결과를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금융위와 금융감독원, 한국회계기준원, 한국거래소 관계자들을 비롯해 회계기준원 산하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와 경제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삼성전자, 현대차, SK, 포스코, 네이버, KT&G, 아모레퍼시픽, 한국조선해양, 이마트 등 기업 관계자들도 자리했다.국내 ESG 공시 기준안을 마련하고 있는 KSSB는 지난 4월 공시제도 기준 초안을 공개했다. 금융위는 지난 5월부터 지난달까지 4개월간 기업,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투자자로는 국민연금공단을 비롯한 29개 국내투자자, 세계 최대 연기금인 노르웨이 국부펀드(NBIM) 등 17개 해외투자자가 ESG 공시 초안 관련 의견을 밝혔다. 산업계에선 개별기업 111곳과 10개 경제·산업단체가 의견을 냈다.
기업들 대부분은 ESG 공시를 다른 사항보다도 기후 관련 사항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06개 기업 중 96곳이 기후관련 사항을 먼저 의무공시하는 것에 동의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앞서 KSSB가 밝힌 기준 초안 방침과도 같다. KSSB는 각종 ESG 사안 중 'E(Environment·환경)'에 해당하는 기후 관련 내용부터 ESG 공시를 시작한다는 입장이다. 기후 관련 사안은 다른 ESG 주제보다 정량화가 보다 용이하고, 글로벌 자본시장에서도 주요 사안으로 보고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기업은 "스코프3 현실성 없어" vs 투자자 "필요한 정보"
스코프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와 관련해선 공시 주체인 기업과 공시 이용자인 투자자간 의견이 갈렸다. 기업들은 스코프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의무화를 유예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공시가 유용하더라도 부담이 너무 크다는 이유에서다.기업들은 스코프3에 대해선 세계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없고, 주요국 중 해당 공시를 요구하지 않는 곳도 있다는 점도 유예 필요성 근거로 들었다.
반면 투자자들은 스코프3도 공시 대상에 들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보를 측정하기 어렵다고 해도 투자자로서는 기업이 직면한 리스크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라는 게 근거다. 투자자들은 기후 외에 다른 지속가능성 사항에 대해서도 공시 제도화와 관련한 일정 등을 알려야한다고도 주장했다.
"연결 기준 ESG 공시 작성 어렵다" 지적도
앞서 공개된 ESG 공시제도 초안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의 경우 ESG 공시도 연결 실체를 기준으로 작성해야 한다. 이에 대해 일부 기업은 해외에 둔 자회사로부터 기후와 관련한 신뢰성 높은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우려를 제기했다.장애인 고용현황을 비롯한 정책목적 공시에 대해서도 "유용성은 동의하나 공시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부 기업들은 불확실성 해소 차원에서 공시 기준이 빨리결정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이 충분히 준비할 수 있게 자율공시부터 시작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ESG 공시제도는 기업들이 기후 변화 와중에도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기업을 지원하는 첫걸음"이라며 "제도가 도입되면 녹색분야에 대한 정책금융 등 자금공급을 확대하고, 관련 분야에 투자를 활성화하는 금융지원을 보다 원활하게 집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기후를 비롯한 지속가능성 요소가 경제·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ESG 관련 시장 형성과 제도화 움직임이 꾸준히 일고 있고, 주요국에선 ESG 생태계의 기초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 공시제도를 추진하고 있다"며 "기업의 의견이 원활한 제도 안착을 위해 중요한 만큼 의견을 심도있게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