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장벽 발등의 불…CEO가 총대 메고 전략 짜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ESG클럽 2024 출범
한화진 환경부 장관 기조연설
"녹색 시장 100조로 키운다"
ESG 공시 시점 '뜨거운 감자'
회계기준원장 "해외와 맞춰야"
2029년보다는 빨라질 듯
한화진 환경부 장관 기조연설
"녹색 시장 100조로 키운다"
ESG 공시 시점 '뜨거운 감자'
회계기준원장 "해외와 맞춰야"
2029년보다는 빨라질 듯
“최고경영자(CEO) 등 최고의사결정권자가 각성하지 않으면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장벽을 넘기 어려울 겁니다.” 지난 24일 ‘대한민국 ESG클럽 2024 출범식’이 열린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기조연설을 맡은 이한상 한국회계기준원 원장은 강한 어조로 이같이 말했다. “실무진이 보고서 작성하고 CEO를 설득하느라 시간을 허비하기엔 디데이가 머지않았다”는 것이다.
이날 행사엔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HD현대 등 주요 기업 100여 곳의 ESG 담당 임원들이 총출동했다. 이들은 “ESG의 거센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는 걸 현장에서 체감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유럽연합(EU)이 차량에 쓰이는 플라스틱의 25%를 재활용 제품으로 쓰도록 강제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귀띔했다. 해외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선행 질문에 ‘인권 활동 여부’가 포함돼 있는 일도 허다하다.
두 번째 기조연설을 한 이 원장은 ESG와 관련해 기업의 의사 결정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LG화학처럼 CEO가 앞장서서 글로벌 수준을 능가할 정도로 미리 준비하는 기업도 있지만 대다수는 ‘그날’이 오지 않기를 앉아서 기다리고 있다”고 에둘러 비판했다.
마지못해 해야 할 의무 정도로 여기다 보니 기업들의 ESG 담당 부서는 홍보, IR, 대관 등으로 제각각이다. 이 원장은 “CEO가 종합적인 전략을 세우고 톱다운 방식으로 ESG 활동을 펼쳐야 하는데 현실에선 그렇지 못한 사례가 많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로 인한 폐해가 ‘그린 워싱’ 논란으로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케팅 부서에서 설익은 ESG 관련 콘텐츠를 활용했다가 소비자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얘기다.
25일 대한상공회의소 등 주요 경제단체가 연 토론회에선 ‘최대한 시점을 늦춰 2029년부터 의무화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대다수 기업이 준비되는 시점에 ESG 공시 의무화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세부 지침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도 이뤘다.
회계기준원은 이보다 이른 2027~2028년 추진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출범식에서 “어차피 맞아야 한다면 미리 추진해 철저히 대비하는 게 낫다”며 “기업 입장도 이해되지만 국제적인 정합성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정부 입장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 대기업 ESG담당 임원은 “대기업이 중소 협력사에 ESG 의무를 부과하려면 정부에서 하루빨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기업 ESG 책임자는 “협력사 ESG 이행을 점검하는 행위가 자칫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비칠 수 있다”며 “이 같은 세부적인 사항도 하루빨리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
이날 행사엔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 HD현대 등 주요 기업 100여 곳의 ESG 담당 임원들이 총출동했다. 이들은 “ESG의 거센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는 걸 현장에서 체감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유럽연합(EU)이 차량에 쓰이는 플라스틱의 25%를 재활용 제품으로 쓰도록 강제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귀띔했다. 해외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선행 질문에 ‘인권 활동 여부’가 포함돼 있는 일도 허다하다.
ESG 담당 부서, 기업별 제각각
올해 4회째를 맞은 ESG클럽 출범식 첫 번째 기조연설은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맡았다. 그는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 지원을 마중물로 2027년까지 녹색 내수 시장을 최대 100조원 규모로 세 배 키우겠다”며 “녹색투자 활성화를 위해 녹색채권과 유동화 증권 등에 자금을 일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두 번째 기조연설을 한 이 원장은 ESG와 관련해 기업의 의사 결정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LG화학처럼 CEO가 앞장서서 글로벌 수준을 능가할 정도로 미리 준비하는 기업도 있지만 대다수는 ‘그날’이 오지 않기를 앉아서 기다리고 있다”고 에둘러 비판했다.
마지못해 해야 할 의무 정도로 여기다 보니 기업들의 ESG 담당 부서는 홍보, IR, 대관 등으로 제각각이다. 이 원장은 “CEO가 종합적인 전략을 세우고 톱다운 방식으로 ESG 활동을 펼쳐야 하는데 현실에선 그렇지 못한 사례가 많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로 인한 폐해가 ‘그린 워싱’ 논란으로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마케팅 부서에서 설익은 ESG 관련 콘텐츠를 활용했다가 소비자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얘기다.
공시 시점은 여전히 ‘논란 중’
이날 행사에선 ESG 공시 의무화 추진 시기도 ‘뜨거운 감자’였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가 올 4월 국내 지속가능성 ESG 공시 기준 공개 초안을 내놓은 뒤 추진 시기에 대한 논의가 업계 전반에서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25일 대한상공회의소 등 주요 경제단체가 연 토론회에선 ‘최대한 시점을 늦춰 2029년부터 의무화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대다수 기업이 준비되는 시점에 ESG 공시 의무화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세부 지침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도 이뤘다.
회계기준원은 이보다 이른 2027~2028년 추진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출범식에서 “어차피 맞아야 한다면 미리 추진해 철저히 대비하는 게 낫다”며 “기업 입장도 이해되지만 국제적인 정합성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정부 입장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한 대기업 ESG담당 임원은 “대기업이 중소 협력사에 ESG 의무를 부과하려면 정부에서 하루빨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기업 ESG 책임자는 “협력사 ESG 이행을 점검하는 행위가 자칫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비칠 수 있다”며 “이 같은 세부적인 사항도 하루빨리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