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에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을 건립하는 등 행정수도 역할을 적극 강화한다. 행정수도 기능을 뒷받침할 주거와 상업, 교육, 컨벤션센터 같은 복합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행정수도 기능 강화로 지역 발전 기대가 커져 부동산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형렬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사진)은 14일 기자간담회에서 “국가 중추시설 건립과 도시 인프라 확충 등 세부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며 “체계적으로 계획을 수립해 도시의 완성도를 높이고 국가 중추시설 건립과 도시 기능 확충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지난해엔 건설기본계획을 변경해 도시 건설 방향을 행정 기능 중심의 복합자족도시에서 실질적 행정수도로 전환했다”며 “입법과 국정 운영 등을 도시 기능에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행복도시를 미국 행정수도인 워싱턴DC처럼 개발할 계획이다. 행정수도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도시 중심을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문화시설이 어우러진 국가 상징 구역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국가 중추시설이 들어서는 세종동 일원은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돼 주요 시설 건설을 집중 지원한다. 세종동의 북쪽인 누리동은 주거와 상업, 업무, 미디어단지 등 복합 기능을 갖춘 배후단지로 조성된다.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임대형 공동캠퍼스는 오는 9월 개교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엔 세종테크밸리 10차 분양을 통해 첨단업종 기업을 적극 유치한다. 기업 수요에 따라 업무·산업용지 확대 방안도 검토한다. 주택 공급 속도도 높일 계획이다. 행복도시 내 주택은 지난해 말 기준 목표치(20만가구)의 62%인 12만3000가구다. 연말까지 누적 착공 물량이 12만7900가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