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초기분양 성적이 올해 들어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분양가 급등세 등이 겹치며 제때 계약자를 찾지 못하는 신규 아파트 사업장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12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의 평균 초기분양률은 78.0%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엔 전국 초기분양률이 86.3%였는데, 올해 들어 8.3%포인트 하락했다. 초기분양률은 분양을 시작한 지 3~6개월 된 아파트의 총공급 가구수 대비 실제 계약이 이뤄진 가구수 비율을 뜻한다. 30가구 이상 아파트를 전수 조사해 산출한 값이다.

서울은 지난해 4분기 초기분양률이 100%였다. 모든 단지가 6개월 안에 ‘완판’(100% 계약)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올해 1분기(초기분양률 88.6%)엔 10가구 중 1가구가 아직 주인을 찾지 못했다. 인천(90.7%→72.9%)과 경기(95.2%→86.2%)도 전 분기엔 100%에 가까운 초기분양률을 기록했지만 이번 분기에 일제히 하락했다.

지방의 사정은 훨씬 심각하다. 경북(36.3%)과 대전(43.1%)은 6개월이 넘도록 계약자를 구하지 못한 분양 물량이 절반을 넘는다. 대전은 작년 4분기 초기분양률이 100%여서 이번에 낙폭이 두드러졌다. 전북(51.7%)과 부산(54.9%)도 올해 1분기 초기분양률이 간신히 50%를 넘겼다.

물론 비교 시점을 작년 초로 잡으면 그래도 최근 분양시장 분위기가 나쁜 편은 아니라고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1분기엔 전국 초기분양률이 49.5%에 불과했고 기타 지방(광역시 제외)은 29.5%에 그쳤기 때문이다. 하지만 업계에선 앞으로 예비 청약자의 관망세가 강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고금리와 자재값 인상 등으로 분양가가 크게 뛰며 일각에서 과거보다 청약 메리트가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서다. 서울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작년 3월 3.3㎡당 3068만원에서 올해 3월 3801만원으로 23.9% 올랐다. ‘선당후곰(선당첨 후고민)족’이 늘면서 청약 경쟁률은 높은데 미계약이 속출하는 단지도 나타나고 있다.

업계에선 지역과 입지, 가격 등에 따른 선별 청약 기조가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공급될 예정인 서울 마포구 ‘마포자이힐스테이트’(총 1101가구), 서대문구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827가구), 경기 수원 ‘북수원이목지구디에트르더리체’(2512가구) 등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