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경매 물건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한경DB
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경매 물건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한경DB
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경매물건이 증가하면서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가 3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 3000건을 돌파했다.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도 8년 10개월 만에 최다 건수를 기록했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9일 발표한 '2024년 4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전월(2663건) 대비 18.1% 증가한 3144건을 나타냈다. 월 진행 건수가 3000건을 웃돈 건 2020년 11월(3593건) 이후 3년 5개월 만이다.

낙찰률은 전월(35.3%)보다 5.3%포인트 상승한 40.6%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86.1%로 전달(85.1%) 대비 1.0%포인트 오르면서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경매물건이 증가하는 가운데 선호도 높은 지역과 단지 위주로 낙찰가율이 강세를 띠고 있다는 설명이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9.7명)에 비해 1.7명이 줄어든 8.0명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351건으로 2015년 6월(358건) 이후 8년 10개월 만에 최다 건수를 기록했다. 낙찰률은 45.3%로 전달(34.9%) 대비 10.4%포인트 상승했다. 한 번 유찰된 아파트가 다수 소진되면서 낙찰률이 크게 반등했다는 분석이다. 낙찰가율은 전달(85.9%) 대비 4.7%포인트 상승한 90.6%를 나타냈다. 2022년 8월(93.7%) 이후 1년 8개월 만에 90% 선을 넘겼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한남동, 잠실동, 여의도 등 주요 입지 내 아파트가 낙찰가율 상승을 주도했다"며 "다른 지역에서는 9억원 이하의 중·소형 아파트가 오름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7.7명으로 전달(8.2명) 보다 0.4명이 줄었다.

경기 아파트 진행 건수도 650건으로, 전달(577건) 보다 12.7% 늘었다. 낙찰률은 전달(43.5%) 대비 3.9%포인트 상승한 47.4%를 기록했다. 낙찰가율은 87.7%로 전달(87.3%) 보다 0.4%포인트 올랐다. 평균 응찰자 수는 11.4명으로 전월(13.2명) 대비 1.8명이 감소했지만, 매월 두 자릿수의 높은 경쟁률을 나타내고 있다.

인천 아파트 진행 건수 역시 전달(166건) 보다 30.7% 증가한 217건으로 집계됐다. 낙찰률은 35.0%로 전월(34.9%)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낙찰가율은 79.3%로 전월(82.8%) 대비 3.5%포인트 하락했다. 인천 미추홀구 내 전세 사기 피해 아파트가 저가에 낙찰되면서 전체 수치를 끌어내렸다. 평균 응찰자 수는 8.7명으로 전달(11.0명) 보다 2.2명이 줄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