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총선 개표 상황실 앞에서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를 본 뒤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최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총선 개표 상황실 앞에서 방송 3사 출구조사 결과를 본 뒤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최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일 오전 1시께 인천 계양을 당선이 확정되자 “저와 민주당에 민생을 책임지라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지역 발전을 이뤄내달라는 책임을 부과하신 것으로 생각된다”며 “유권자의 요구대로 이 나라 국정의 퇴행을 멈추고 다시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불과 6개월여 전까지만 해도 당 안팎에서 사퇴 압박을 받았다. 민주당 주류 세력인 86(1980년대 학번·1960년대생) 운동권 중심의 친문(친문재인)·비명(비이재명)계로부터 대표직에서 물러나라는 요구를 받았다. 이 대표가 2선으로 후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해 총선을 치러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비명계는 “사법리스크를 짊어진 채 재판을 다니면서 총선을 지휘할 순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끝까지 버텼고, 그런 비명계를 향해 매서운 공천 칼날을 휘둘렀다. 비명계를 쳐낸 텃밭 지역구에는 ‘대장동 사건’ 변호인단, 경기도·성남시 인맥 등 원외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들을 공천했다.

정치권에서는 비명횡사 공천 파동을 놓고 “이 대표가 정치적 명운을 걸고 승부수를 던졌다”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비명횡사 공천이 총선 패배로 이어지면 이 대표의 정치적 입지가 크게 위축되겠지만, 반대 결과가 나오면 당권이 더 확고해질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결과는 민주당이 단독 과반을 차지하는 승리였다. 11일 오전 1시30분(전국 개표율 85.2%) 현재 민주당은 168~170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천 파동에도 민주당이 단독 과반 의석을 챙기면서 이 대표는 ‘혁신 공천’으로 총선 승리를 이끌었다고 주장할 수 있게 됐다. 이 대표는 비명계의 비명횡사 공천 비판에 대해 “세대 교체를 위한 불가피한 진통”이라고 반박해왔다.

이 대표는 자신을 둘러싼 사법리스크에 더 강하게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총선 하루 전날인 지난 9일 대장동 재판에 출석하며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사실상 선거 유세에 가까운 입장문을 읽어내려갔다. 그는 “저의 손발을 묶는 것이 검찰독재정권 정치검찰의 의도”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 대표와 그의 측근인 정진상 전 정무조정실장 등을 변호해 온 변호사들이 배지를 달게 된 만큼 이들이 대대적인 ‘스피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 지도부는 강성 친명 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가 현재 지도부를 구성할 때는 비명인 송갑석 의원을 지명직 최고위원에 앉히는 등 비명계를 의식했지만 앞으로는 이런 배려 자체가 사라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했다. 이번 선거에서 10석 이상의 의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는 조국혁신당의 조국 대표 등 야권 잠룡에 대한 견제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적 입지 쪼그라든 한동훈…'마지노선' 120~130석마저 붕괴
'총선 후 유학설'엔 선 그었지만…정치권 "운신의 폭 좁아질 것"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제22대 총선 개표 상황실에서 출구조사 결과를 시청한 뒤 발언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제22대 총선 개표 상황실에서 출구조사 결과를 시청한 뒤 발언하고 있다. /강은구 기자
이번 총선을 이끌며 여권 차기 유력 대권 주자로 거론되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기대에 못미치는 성적표를 받아들면서 정치적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다만 현재 의석수(114석)와 비슷한 수준은 지켜낸 만큼 그가 당장 비대위원장직을 내려놓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방송 3사 출구 조사가 공개된 직후만 해도 한 위원장이 사실상 정치적 퇴장 수순을 밟게 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개헌 저지선(100석)을 지켜내는 것조차 불투명했기 때문이다. 당 안팎에선 한 위원장이 선거 이후에도 당권을 장악하려면 120~130석 정도는 얻어야 한다는 얘기가 많았다. 목표에는 미달했지만,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선 의외로 선방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한 위원장은 이날 출구조사 결과가 발표된 직후 "국민의힘은 민심의 뜻을 따르기 위한 정치를 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출구조사 결과가 실망스럽다"면서도 "끝까지 국민의 선택을 지켜보면서 개표 결과를 지켜보겠다"고 했다. 만약 그가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 국민의힘은 곧바로 새 지도부 구성에 나서야 한다. 그러나 비대위원장 임기를 남겨둔 만큼 한 위원장이 자리를 내려놓지 않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한 위원장 취임 초기만 해도 보수 진영에서는 ‘한동훈 효과’가 나타났다. 그는 정치 신인으로서 사심 없이 선거 승리를 진두지휘하겠다며 일찌감치 불출마를 선언했다. 여당 지지율이 급격히 오르며 한때 국민의힘이 제1당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그는 공식 선거 일정 동안 하루 평균 14곳에서 지지 유세를 하는 등 강행군을 이어가며 막판 탈진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한 위원장이 내세운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은 ‘정부 심판론’을 넘어서지 못했다. 국정 지지도가 낮은 상황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같은 검찰 출신이라는 점도 민심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국민의힘은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체제로 선거를 이끈 더불어민주당과 달리 ‘원톱 체제’로 선거를 치렀다. 지도체제 구조상 당내에선 선거 패배의 책임을 한 위원장이 오롯이 짊어질 수밖에 없다.

정치권에선 한 위원장이 이번 총선에 출마하지 않은 것도 향후 정치 행보를 험난하게 만드는 이유로 꼽는다. 그는 ‘사천(私薦)’ 논란을 봉쇄하기 위해 ‘자기 사람’도 심지 않았다. 일부 비대위원이 당선권 비례대표 후보로 이름을 올렸지만 인연이 깊지 않다. 여당 관계자는 “많은 정치 리더가 비난을 무릅쓰고 유리한 지역구를 택하거나 비례 앞번호를 받아내는 것도 결국 원내에 진입해야 정치 생명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며 “정치인으로서의 기회를 놓치는 결과로 돌아왔다”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총선 후 유학설’엔 수차례 선을 그은 바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선거를 진두지휘해 온 한 위원장을 상대로 사퇴 요구 등 책임론이 당내에 있을 수 있다”면서도 “윤석열 정부가 사실상 조기 레임덕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진 점을 고려하면 한 위원장이 당에 남아 정부와 각을 세울 가능성도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한재영/오형주/맹진규/정소람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