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바이오 기술력을 한층 높일 ‘의사과학자’를 현재 의과대학 졸업생(약 3000명)의 1.6% 수준에서 선진국 수준인 3%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연 제1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2024년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투자계획 △의사과학자 양성 전략 △규제장벽 철폐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10년간 2조원 규모의 도전적 R&D를 추진하는 ‘한국형 ARPA-H’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 프로젝트는 인터넷, 자율주행차,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등 세상을 바꾼 기술을 만들어낸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모델을 보건의료 분야에 접목했다. 미정복질환 정복, 신종 전염병 대응, 노화 방지 등 난제를 푸는 연구를 집중 지원해 한국의 바이오 기술력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고 수준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초격차’ 기술을 개발하고 노하우를 배우는 ‘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도 내년부터 시작한다.

혁신적 연구를 주도할 의사과학자의 지원도 강화한다. 의사과학자는 의사 면허가 있으면서도 과학적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까지 갖춘 박사급 인재로, 임상 현장 수요를 R&D로 연결하는 핵심 인력이다.

정부는 학부, 전공의, 전일제 박사 양성과정 등 의사과학자 전주기 지원 체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경력별 연구지원 트랙을 구축해 매년 92명(신진 40명·심화 30명·리더 22명)의 의사과학자에게 연구에 전념할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는 의사과학자 지원 명목으론 2년에 불과한 연구비 지원 기간도 최대 11년까지 늘린다.

예비 의사과학자가 안정적으로 박사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군 전문연구요원 제도 개선 방안도 검토한다. 병원에 있는 의사과학자가 진료 시간을 줄이고 연구시간을 확보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이를 통해 현재 연간 40~50명으로 의대 졸업생의 1.6% 수준인 의사과학자를 10년 뒤인 2033년까지 선진국 수준인 3%대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