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中 '제2의 헝다'…채권 거래 중단
중국의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가 중국 경제에 일으킬 파장을 시장이 예의 주시하고 있다. 비구이위안이 달러 표시 채권의 이자 미지급과 상반기 실적 악화에 이어 역내 채권 거래까지 중단하기로 하자, 회사 상황이 결국 디폴트를 선언해야 할 만큼 심상치 않아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1년 헝다그룹의 디폴트 선언 이후 장기 침체에 빠진 중국 부동산 시장이 도미노 부도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위기를 겪는 중국 경제에 또 다른 악재가 덮쳤다는 지적이다.

역내 채권 거래도 중단

벼랑 끝 中 '제2의 헝다'…채권 거래 중단
블룸버그통신의 1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비구이위안은 14일부터 역내 채권 가운데 최소 10종의 거래를 중단하기로 했다. 2021년과 2022년 발행한 위안화 표시 채권 6종은 선전 증권거래소에서, 3종은 상하이 증권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없게 된다. 관계회사의 채권 1종도 거래가 중단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비구이위안의 사모사채도 거래가 중단될 전망이다. 추가 디폴트 가능성을 막기 위해서라는 추측이 나온다. 현지 은행들에 따르면 비구이위안은 역내 채권의 만기 연장을 염두에 둔 것으로 알려졌다.

비구이위안발 악재가 시장에 이어지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7일 비구이위안 만기가 도래한 달러 채권 두 건의 이자 2250만달러(약 296억원)를 지급하지 못했다. 30일간의 유예기간 안에 이자를 내지 못하면 디폴트에 빠지게 된다. 이어 10일에는 상반기 순손실을 450억~550억위안(약 8조2300억~10조원)으로 전망한다고도 발표했다. 중국 부동산시장에서 비구이위안의 위상은 크다. 비구이위안은 지난 6년(2017~2022년) 동안 매출 기준으로 중국 1위 부동산 개발업체 자리를 유지했다. 신규 주택 판매 기준으로 지난해까지 5년 연속 1위였다. 하지만 이처럼 공격적으로 확장한 결과, 회사는 시장 침체의 직격탄을 맞았다. 비구이위안의 작년 매출은 전년보다 17.7% 감소했다. 순손실은 60억5200만위안으로 상장 후 첫 적자를 냈다.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 비구이위안의 달러 채권 발행량(약 99억달러)은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가운데 가장 많다.

부동산 개발사 도미노 디폴트 조짐

비구이위안을 비롯한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도미노’처럼 무너지면 중국 경제에도 치명상이다. 부동산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20%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이다. 2021년 헝다의 경영난으로 촉발됐던 부동산업계의 디폴트 도미노가 또 한 번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크리스티 헝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선임애널리스트는 “비구이위안의 디폴트는 헝다 때보다 중국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구이위안의 건설 프로젝트는 3000여 건으로 헝다(약 700건)의 네 배가 넘는다.

부동산 개발업체 위안양은 지난 2일 20억위안(약 3650억원) 규모 채권에 대한 채무상환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고, 허징타이푸그룹은 올 4월 디폴트를 선언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현금흐름보상비율이 각각 35%와 63%에 그친 야쥐러와 신청 등 건설회사의 채무 상환능력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부도 각종 금융 지원책 등 부동산 경기 부양책을 내고 있지만, 약발이 먹혀들지 않고 있다. 중국의 부동산 시장에서 ‘산업화, 인구 유입, 부동산 수요 확대’의 선순환이 이미 깨졌고, 헝다 사태 이후 당국의 강도 높은 규제 정책의 여파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정부가 더 적극적인 부양책을 내지 못하면 부동산 위기를 진정시키기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지방 정부가 빚더미에 앉아 있어서 이마저도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베이징=이지훈 특파원 lizi@hankyung.com